藜口莧腸者 多氷淸玉潔
袞衣玉食者 甘婢膝奴顔
蓋志以澹泊明 而節從肥甘喪也
<채근담(菜根譚)>
명아주국을 먹고 비름나물로 배를 채우는 사람은
대부분 얼음 같이 맑고 옥처럼 깨끗하지만,
비단옷을 입고 귀한 음식을 먹는 사람은
종처럼 굽실거리고 아첨함도 달게 여긴다.
대체로 뜻은 담박함으로써 뚜렷해지고,
지조는 부귀를 탐하여 잃게 된다.
* 빙청옥결(氷淸玉潔)은 '얼음같이 맑고 깨끗한 절개'를 말한다.
곤의(袞衣)는 '왕이나 귀족이 입는 비단옷'을 뜻하고,
옥식(玉食)은 '쌀밥이나 고기 등의 귀중한 음식'을 말한다.
비슬(婢膝)은 '종처럼 무릎을 꿇고 굽실거리는 것'을,
노안(奴顔)은 '아첨을 즐기는 노예의 얼굴'을 뜻한다.
비감(肥甘)은 '기름지고 달콤하다.'는 뜻으로 부귀(富貴)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