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늙은 측백나무

아라홍련 2013. 11. 28. 22:10

 

  

 

 

                                     古柏行                                      

                                               (늙은 측백나무)

 

         孔明廟前有老柏           공명사당 앞에 늙은 측백나무 있어

        柯如青銅根如石           가지는 청동같고 뿌리는 돌같아

        霜皮溜雨四十圍           이슬 맞고 빗물 흐르는 줄기 둘레만 40발

        黛色參天二千尺           검푸른색 하늘로 솟기를 2천척

        君臣已與時際會           임금과 신하 시제에 함께 모여

        樹木猶爲人愛惜           나무였지만 사람들이 사랑하고 아꼈지

        雲來氣接巫峽長           구름이 몰려오면 기운이 무협으로 길게 이어지고

        月出寒通雪山白           달이 뜨면 찬바람이 설산까지 하얗게 이어졌다

        憶昨路繞錦亭東           지난 날 금정의 동쪽으로 길이 돌아 있었는데

        先主武侯同閟宮           지금은 유비와 공명의 사당이 함께 있네

        崔嵬枝幹郊原古           가지는 높게 솟고 들판도 옛 들판이라

        窈窕丹青戶牖空           단청은 단정한데 문과 창만 비어있네

        落落盤踞雖得地           늘어진 나무 땅을 얻어 웅크리고 있지만

        冥冥孤高多烈風           높고 아득하게 홀로 높아 자주 사나운 바람 맞는다

        扶持自是神明力           스스로 지탱하는 것은 신명한 힘이요

        正直元因造化功           바르게 뻗어 둥근 것은 하늘의 공이다

        大廈如傾要梁棟           큰 건물이 기울어 대들보가 필요해도

        萬牛迴首丘山重           모든 소가 고개 돌리는 것은 산처럼 무겁기 때문

        不露文章世已驚           무늬는 보이지 않아도 세상은 이미 경탄하고

        未辭剪伐誰能送           자르는걸 사양하지 않는다 해도 누가 능히 운반하리

        苦心未免容螻蟻           괴로움 면치 못하고 땅강아지와 개미에게 침노당해도

        香葉終經宿鸞鳳           향기로운 잎에는 마침내 난새와 봉새가 잔다

        志士幽人莫怨嗟           지사와 은둔자들 원망하고 탄식하지 말아라

        古來材大難爲用           고래로 재목이 크면 본래 사용키 어렵나니

 

                                                   ~* 두보(杜甫, 712~770)) *~                              

  

              *  중국에서 시성(詩聖)으로 불리는 두보의 詩  '고백행(古柏行)'...

                   웅장한 늙은 측백나무를  노래한 詩이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세상사와 인간사에

                   대한 의미 심장한 철학이 담겨 있다.

                   인간과 세상의 이치에 대한 깊은 사유가 은유적으로 잘 표현돼 돋보이는 작품이다.  

 

                   장대한 측백나무는 직접 잘라서 굳이 무늬를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세상이 경탄할

                   정도로 아름답고 튼실하다.  

                   하지만, 측백나무가 늙어 웅장해지면 함부로 잘라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나무의 크기를 보고 놀란 소가 고개를 돌려 운반하기도 마땅치 않다.

                   나무가 적당히 커야지, 너무 크고 우람하면 아무데나 쉽게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

                   비록 나무가 늙어 괴로움을 면치 못하고 땅강아지와 개미에게 침노를 당하기도 하지만,

                   측백나무의 고고하고 향기로운 잎에는 전설의 난새와 봉새가 잔다.

                   다른 나무들과는 비교 불가한 대단한 재목이다...

                   한데, 두보는 이 늙은 측백나무를 詩 말미에서 문득 사람에게 대입시키고 있다.

                   지사(志士)와 은둔자(隱遁者)들로...!

                   그리고 "지사와 은둔자들 원망하고 탄식하지 말아라. 고래로 재목이 크면 본래

                   사용하기가 어렵나니..." 하면서 詩를 끝맺고 있다.

                   두보(杜甫)는 늙은 측백나무를 자신의 처지와 지사, 은둔자들로 본 것이 틀림없다.       

                                 

                    詩는 읽을수록 세상사와 인간사가 훤히 드러나 보이는 작품이다. 

                   사바세계(娑婆世界)의 생사고락과 고된 삶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사바(娑婆)는 산스크리트어인 Saha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본래는 '부처가 교화하는 땅'을 의미하나, 보통은 인간으로 살아가는 범속(凡俗)의

                   세계를 말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별, 지구에서의 삶은 기본적으로 삼독(三毒)과 오온(五蘊)의

                   번뇌를 겪어내야 하는 세상이다.

 

                   은... 탐(貪), 진(瞋), 치(痴)를 뜻한다.

                   탐욕과 분노, 바른 도리에 대한 무지를 말한다.

                   오온은...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범주의 요소를 말한다.    

                   물질적인 것을 의미하는 색(色), 감각의 수(受), 인식작용의 상(想), 의지작용의 행(行), 

                   마음 작용의 식(識)이다.

                   인간의 세계, 즉 사바세계란 바로 '삼독의 번뇌와 오온에서 비롯되는 고통'을 참고

                   살아야 하는 곳이다.

                   탐욕과 분노,무지로 번뇌하고, 물질과 감각, 인식, 의지, 마음에서 비롯되는 고통을

                   참고 견뎌내야만 한다.

                   한마디로, '인내(忍耐)하며 살아야 하는 세상'이다.

                   이렇게 참고, 견디어 인내하며 살아야 하는 세계를 '사바세계'라고 부른다.

                   이런 과정을 거쳐야 되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다. 

                   이런 훈련을 통해 이 별에 태어난 목적인 자신의 숙제를 잘하고, 교훈을 얻어 영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불교 경전에서는 실제로 '사바'를 '(忍)'으로 번역하고 있다.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이백'이나, 시성(詩聖)으로 불리는 '두보', 중국 최고 문장가로

                   꼽히는 '소동파', 민중 시인 '백거', 전원시의 대가 '연명'의 詩를 읽어보면 한가지 

                   공통점이 나타난다.

                   문학으로서 아름다움과 예술성도 일품이지만, 그들의 인생에 대한 통찰력과 직관력을

                   통해서 우리는 사바세계를 살아가는 지혜와 삶의 교훈, 철학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들을 문학의 거성(巨星)으로 꼽는다.

                   이들이 남긴 문학적 업적 중에는 이처럼 예술적인 면 이외에도, 후대 사람들에게 주는

                   혜훈(惠訓)과 철학도 포함돼 있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