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소무(蘇武)에게 주는 詩 1

아라홍련 2013. 11. 26. 23:18

 

 

 

      강호(江湖)의 고수들이 이 계절 꼭 읽어야 할 책으로 <장한가(長恨歌)> 다음으로 꼽는 詩는

         바로 '이릉(李陵)'이 친구 '소무(蘇武)'에게 주는 詩' 1, 2, 3 이다.

         우정을 노래한 詩 중에서 가장 슬픈 詩로 꼽힌다.  

         두 사람의 우정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가장 안타깝고 애잔하기로 유명하다.   

         詩가 너무 탁월한 감성을 세련되게 표현하고 있어, 심지어 후대의 위작(僞)이 아닌가 하는

         의심까지 받는 詩이다.     

                             

                                  與蘇武詩 其一                     

                                                          ('소무'에게 주는 시  1)

   

                 良時不再至           좋은 때는 다시 오지 않으리

                  離別在須臾           이별은 눈 깜짝 할 새 왔네

                  屏營衢路側           불안해하며 네거리 옆에 서성였고

                  執手野踟躕           손잡고 들판에서 주저했었네

                  仰視浮雲馳           하늘을 보면 뜬구름 달리고

                  奄忽互相踰           갑자기 서로 아득히 멀어지고 있네

                  風波一失所           바람에 한번 머물 곳을 잃고 나니

                  各在天一隅           각자 하늘가 멀리 떨어지게 되네

                  長當從此           응당 오래가겠지 이 이별

                  且復立斯須           또 다시 이렇게 잠시 멈추어 선다

                  欲因晨風發           바라건데 새벽 바람 부는 것에 의지해

                  送子以賤軀           이 천한 몸으로 그대를 전송할 수 있었으면

 

                                                         ~* 이릉(李陵, ? ~ BC 74년) *

 

           <해설>

 

           '이릉(李陵)'기원전 99년, 한무제의 흉노 정벌 때 5,000명을 이끌고 배후를 치다가

              80,000의 흉노군에 포위당해 부하들을 살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투항했던 인물이다.

              '이릉'을 변호하던 '사마천(司馬遷)'은 한무제의 격노를 사서, 결국 생식기를 거세하는

              궁형(宮刑)을 당하게 된다.    

              때문에 역사는 이를 '이릉의 화(李陵之禍)'라고도 부른다.            

              "통사(通史)를 기록하라."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의 유언에 따라 당시 불후의 역사서인

              <사기(史記)>를 쓰고 있던 '사마천'은 그로부터 2년 후, 중국 최초의 사서(史書)로 불리는 

              불후의 명저 <사기> 30여 권을 완성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마천'은 일명 '동양의 헤로도토스(Herodotos)'로 불리운다. 

 

              '이릉'은 전국시대 진(秦)의 명장 이신(李信)의 후예이다.

              또 조부인 '이광'도 대단한 명장이었다.  

              '이릉'도 당대에 명궁으로 이름을 날렸던 장군이다.

              대대로 명망 있던 무장 집안 출신이다. 

              사마천이 목숨을 걸고 용기있게 한무제에게 '이릉'을 변호한 것은 평소 '이광' 장군을

              매우 존경했었기 때문이다.    

              '이릉'의 인물됨과 능력을 높이 평가한 흉노왕은 '이릉'을 사위로 삼은 뒤, 우교왕

              (右校王)으로 봉했다.  

              비운의 한나라 장군 '이릉'은 적의 군사고문으로 살다가 흉노에서 생을 마쳤다. 

 

              '소무(蘇武, ? ~ BC 60)'는 한나라 사신으로 흉노에 갔다가 붙잡혀서 바이칼 호수

              부근에서 무려 19년 동안 유폐돼 양을 키웠던 인물이다.           

              친구인 '이릉'은 '소무'에게 함께 흉노에 남을 것을 권유했으나, '소무'는 끝내 절개를

              지켜 결국 한나라로 귀국하게 된다.

              '제갈량'과 함께 충신(忠臣)과 절개(節介)의 표상으로 꼽힌다.  

              '이릉'은 흉노에 투항한 후 한나라에서 부모와 일족이 모두 몰살을 당했고, 흉노의

              왕족이 된데다가 적의 군사고문까지 맡고 있어 신자로 낙인 찍혀 조국인 한나라로

              돌아갈 수 없는 몸이었다.  

                             

               이 詩는 적국에서 무려 19년 동안이나 억류되었던 '소무'가 한나라로 돌아갈 때,

               '이릉'이 친구와의 이별을 애석해 하면서 지은 詩이다. 

               고전을 좀 공부했다 하는 사람들이 우정을 노래한 시들 중에서, 가장 슬픈 詩로 꼽는다. 

               위의 詩에서 천구(賤軀)란... '흉노에 몸을 의탁한 천한 몸'이란 뜻이다.

               이 詩를 분석하면 이릉과 소무, 이신, 이광, 한나라, 한무제, 사마천, 사기, 사마담,

               흉노, 우교왕 등  당대와 연관된 역사적 사실들이 다 떠오른다.

   

               해설을 읽고 내용을 파악했으면, 이 詩를 다시 한 번 읽으며 음미해보라!

               다시는 못 볼 친구와의 이별을 슬퍼하며 애석해 하는 '이릉'의 애잔함에 당신 가슴에도

               강한 전율이 일 것이다.

               나는 이 詩를 블로그에 포스팅 하면서 한동안 눈물을 글썽거렸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