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심추(深秋)에 생각나는 詩

아라홍련 2013. 11. 17. 19:03

 

 

 

                                                              다려(多麗)

                                          (詠白菊, 흰 국화를 노래함)

 

           小樓寒                        작은 누각 추워지고

           夜長簾幕低垂              밤은 길어져 발 낮게 드리운다

           恨瀟瀟                        한은 쓸쓸하고

           情風雨                        무정한 비바람

           夜來揉損瓊肌              밤이 오니 옥같은 살결 으스러지네

           也不似                        같지도 않도다

           貴妃醉臉                     양귀비의 취한 뺨 

           也不似                        비슷하지도 않네

           孫壽愁眉                     손수의 수심에 젖은 미간과

           韓令偷香                     한수의 향을 훔치게 하는 미모와

           徐娘傅粉                     서랑의 분 바르기

           莫將比擬未新奇           신기한 것도 아닌데 대충 빗대려 하지 마소

           細看取                        자세히 보니

           屈平陶令                     굴원도연명

           韻正相宜                 풍운이 바로 딱 맞네

           微風起                        미풍이 이는구나

           清芬醞藉                     맑은 향기 좋은 자리

           減酴醾                    좋은 술 줄이지는 마세

 

            漸秋闌                        점차 가을이 저무니

            雪清玉瘦                     눈처럼 맑고 옥처럼 파리한데

            向人無限依依              사람을 향해 무한히 아쉬워 하네

            愁凝                        수심이 뭉친 것인가

            漢臯解佩                    한고에서 신선이 허리띠 풀어 준 것처럼

            似淚灑                        눈물 뿌리는 것인가

            紈扇題詩                    흰 비단 부채에 시를 적는 것처럼

            朗月清風                     맑은 달 시원한 바람

            濃煙暗雨                     짙은 안개 어두운 비

            天教憔悴瘦芳姿           하늘이 초췌하게 하니 그 아름다운 자태 수척해지네

            縱愛惜                        애석하도다

            不知從此                     이것은 따라야 하는 것임을 모르고

            留得幾多時                  얼마나 오랜 시간 머물러 있을 수 있을까

            人情好                        인정이 좋았지

            何須更憶                     어찌 다시 추억하리

           澤畔東籬                    못 두둑과 동쪽 울타리의 일을

 

                                                                 ~* 이청조(李淸照) *~

                                      

            

          

            계절에 어울리는 詩가 있다.

                    가을의 끝자락인 심추(深秋)에 생각나는 '이청조'의 사패 <다려(多麗)>가 그렇다.  

                    이 詩는 전에 '이청조의 시 2'에서 소개한 적이 있다.  

                    그러나 詩 자체에 이렇게 자세한 해설을 붙이지는 않았다.

                    '다려'는 저무는 가을을 노래한 작품이기 때문에 요즘 가장 어울리는 시이다.

                    가을을 보내며 아쉬워하는 시인의 수심(愁心)이 섬세하게 잘 표현돼 있다.

                 

                    위의 시 제목인 <다려(多麗)>는 사패명(詞牌名)이다.

                    139字로 구성되는 사(詞, 곡조)의 형식인 '사패'에 대해서는 그동안 블로그에서

                    이청조의 詩를 소개하면서 여러번 언급한 바 있다. 

                    사패는 노래로 불리어졌지만, 워낙 문학성이 뛰어나 중국에서는 詩보다 사패를

                    더 우위에 두는 경향도 있다.

                    송대(宋代)부터 많은 시인들이 詩와 사패를 함께 썼지만 '이청조'는 사패만

                    전문으로 쓴 대표적 여류 사인(詞人)이다.                      

                    '이청조'는 詩와 詞를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중국을 대표하는 뛰어난 시인들도 유행에 따라 사패(詞牌)를 썼기 때문에

                    정확히 시인(詩人)과 사인(詞人)을 구분하기가 애매하다.

                    특히 '사패'라고 하면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보통

                    詩라고 칭하기도 한다.

 

                    내 경우에는 형식에 있어 5언 율시의 단조롭고 딱딱한 운율보다는, 사패의 세련됨과

                    풍부한 표현력, 아름다운 선율을 더 좋아한다.

                    노래 곡조이기 때문에 운율이 훨씬 자유롭고 아름다우며, 세련됐다. 

                    특히 '이청조'의 사패는 그야말로 주옥(珠玉)과 같다.

                    중국에서 그녀를 '중국 최고의 여류 문학'으로 자랑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패명인 다려(多麗)는 본래 기생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이청조의 사패 '다려'에는 유명한 중국 고사(故事)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중국

                    역사와 인물에 대한 정보를 모르면 사패를 해석하기도 힘들고, 참맛 또한 느낄

                    수가 없다.

                    고사가 나오는 詩나 사패를 감상하려면 내용에 언급되는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서 반드시 먼저 공부해야지만, 비로소 詩의 전체적인 맥락이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가 있다.   

 

                    위의 詩에서 '손수'는 후한(後漢)의 권신인 '양기'의 처(妻) 이름이다.

                    워낙 미모가 뛰어나고 愁眉(쓸쓸한 눈썹)과 折腰步(허리를 꺾고 걸음), 齲齒笑

                    (치통을 참으며 웃는 웃음) 등으로 사람을 미혹했다고 전해진다.

                    한령투향(韓令偷香)은 서진(西晉) 때, 진무제인 '사마염'이 서역의 귀한 향(香)을

                    '가충'에게 하사했는데, 그의 딸 '가오'가 이를 훔쳐서 잘생긴 한수 (韓壽)에게

                    몰래 주었다가 들통난 사실을 뜻한다.

                    남녀 간의 사통(私通)을 일컫는 말이다.

                    '서랑(徐)'은 뛰어난 용모로 양나라 원제(元帝)의 부인이 되었던 서비를

                    말한다. 

                    뇌살적인 미모로 황제 주변의 젊은 신하 '계강'과 염문이 있던 일로 유명하다.

                    나이든 미모의 여자와 젊은 남자 와의 염문을 언급할 때 이 단어를 사용한다.     

 

                    굴평(屈平)은 <어부사(漁父辭)>를 쓴 굴원(屈原)의 본 이름이다. 

                    원(原)은 '굴원'의 자(字)이다.  

                    도령(陶令)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도연명'을 뜻한다.

                    그가 현 강서성 북부의 현(縣)인 팽택의 현령을 역임했기 때문에, 도연명을

                    '도령(陶令)'이라고도 부른다.  

                    풍운(風韻)은  젊은 여자의 매혹적인 자태를 뜻한다.

                    본인은 인식하지 못하는 '성적인 매혹'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고(漢臯)는 호북성 양양현 서북에 있는 산(山) 이름인데, 주(周)나라 때

                    한고대 아래에서 두 신선을 만나 띠를 얻은 '정교보'의 일을 말한다.

                    남녀가 사랑의 징표로 선물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환선(紈扇)은 한나라 성제의 후비(後妃)인 '반첩여'의 詩, 단선시(團扇詩)에

                    나오는 구절이다. 

                    새 비단으로 부채를 만들어 주었지만, 가을이 되자 사용하지 않고 이를 상자에

                    넣어버렸다는 내용이다. 

                    택반(澤畔)은 굴원의 <어부사(漁父辭)>에 나오는 구절이다.

                    관직에서 쫓겨나 실의에 빠진 시기의 작품을 말한다.

                    동리(東籬)는 '도연명'의 詩 <음주(飮酒)>에 나오는 구절인데, 보통 詩에서는

                    국화(菊花)의 의미로 사용된다.

                    도연명은 술을 얼마나 좋아했는지 헌주사(獻酒詞) 25편을 남겼다.

                    진정한 애주가인 도잠은 술이 인생의 좋은 반려이며, 삶의 질을 높여주는 좋은

                    짝으로 보았다. 

 

                    그동안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여러 고전을 통해서 우리는 '도연명'과 '굴원'에

                    대한 특별한 정보 두가지를 알 수가 있다.

                    첫 번째는, '도연명'과 '굴원'을 서로 상대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러 고전에서는 이런 개념으로 두 시인을 자주 함께 언급하고 있다.

                    굴원은 치열한 정신으로 일관해 매우 가열(苛烈)한 삶을 살았던 인물로...

                    도연명은 소탈함하고 진솔한 감성으로 유유자적, 질박한 삶을 살았던 인물로...

                    이렇게 서로 반대적인 개념으로 본다. 

                    두사람은 상호보완적이다.

                    <다려(多麗)>에서도 그렇지만, 앞서 블로그에서 '굴원과 도연명'이란 제목으로

                    소개한 <채근담>에 나오는 글에도 굴원과 도연명이 상대적인 의미로 이름이 함께 

                    거론된다.    

                    두 번째는, 두 사람이 같이 거론되는 고전들이 많은 것을 볼 때 중국 문학사에서

                    두사람이 차지하는 위치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굴원은 '최초의 천재시인'으로, 도연명은 '전원시의 태두이자 개척자'로 높이

                    평가받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특히 도연명(陶淵明)은 고래로부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던 詩人이다.

 

                    해설을 읽었으면, 다시 한 번 詩를 읽고 음미해보라!

                    때 비로소 <다려(多麗)>의 참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