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도연명의 詩 12, 자식을 나무라다

아라홍련 2013. 11. 8. 06:02

 

 

 

                                                                    責 子

                                                             (자식을 나무라다)

 

 

                         白髮被兩           백발은 양쪽 구렛나룻을 덥고 

                    肌膚不復實           피부도 예전같이 실하지 못하네

                         雖有五男兒             비록 다섯 아들이 있기는 하나

 

                         總不好紙筆             하나같이 글을 좋아하지는 않네

                         阿舒已二八           제일 큰 놈 ''는 벌써 16 살이건만

                         懶惰故無匹           둘도 없는 게으름뱅이이고

 

                         阿宣行志           둘째 ' "이란 놈은 이제 15살이건만  

                         而不愛文術           글쓰기를 아예 싫어하네

                         雍端年十三           세째와 네째인 ''과 ''은 둘 다 13살인데

                         不識六與七           여섯과 일곱도 분간을 못하네

                         通子垂九齡           막둥이 ''이란 놈은 이제 9살이 되었지만

                    但覓梨與栗           항상 먹을 배나 밤을 찾네

                         天運苟如此            타고난 자식운이 이 지경이니

                         且進杯中物            다 그만두고 술이나 먹을 수밖에

 

                                                                           ~* 도연명 (365~427) *~

 

 

       *  이 詩는 <도연명 문집>에 '책자(자식을 나무라다)'라는 제목으로 올라있는 오언율시이다.

           나는 이 詩를 처음 읽었을  때 피식, 하고 웃었다.

           벼슬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가 농사를 지으면서 유유자적 선인(仙人)처럼 살았던

           도연명(陶淵明)...

           귀향한 지 3년 만에 화재가 나자 식솔들을 이끌고 벗들이 살고 있는 율리(栗里)로 이사를

           갔다.

           그때부터는 늘 벗들과 소통하며 좋은 문장을 함께 감상하고, 때로는 토론과 격쟁을 벌이며

           고사를 논하고, 또 술을 벗삼아 풍류를 즐기며 평화롭고 자유롭게 살았다.

           한데, 이 詩를 읽어보면 그의 삶의 프레임이 좀 달라보이지 않는가.

           '도연명'이 자식들 때문에 적잖이 마음고생을 한 게 이 시 속에 적나라하게 표현돼 있기

           때문이다.    

 

           이 詩를 통해 우리는 도연명에 대해 몇 가지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우선 도연명은 아들 5형제를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아들은 (舒), 둘째 아들은 (宣), 그 다음은 셋째와 넷째가 동갑으로 이름이

           (雍)과 (端)이라고 쓰여있다.

           이를 보면 도연명이 쌍둥이를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막둥이는 (通)이다.

           한데 도연명이 자식을 책망하며 한탄하는 내용을 보면, 자식들이 하나같이 공부 와는

           아예 담을 쌓은 듯 심각한 상황이다.

 

           16세인 장남은 둘도 없는 게으름뱅이이고...

           15세인 차남은 아예 글쓰기를 싫어하며...

           13세인 삼남과 사남 쌍둥이는 그 나이에도 六과 七을 구분을 못할 정도로 까막눈이다.

           9살인 막내는 그 나이에도 오로지 먹을 것만 찾는다.            

           5형제 모두가 하나같이 게으르고 우둔하니, 불초(不肖)한 자식을 바라보는 아비 마음은

           찢어질 듯 하고, 통탄할 지경이다.  

           자식을 책망하던 도연명은 이윽고 자식복이 없다고 한탄하며, 술이나 마시고 잊겠다고

           하고 있다.

           천하의 도연명도 자식농사만큼은 능력 밖이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도연명이 그렇게 술을 많이 마셨던 것일까?...

           도연명의 ''에 대한 일화는 유독 많이 남아있다.  

           술꾼 중 술꾼... 주광(酒狂)으로 불리우던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또 술을 얼마나 

           좋아했던지 취음선생(醉吟先生)이란 號를 사용하던 백거이(白居易), 그리고 중국

           여자 문학인 중에 최고의 술꾼르로 꼽히는 수옥 이청조(李淸照)와 비교해도 조금도

           밀리지 않는 진정한 술꾼이 바로 도연명이다.    

 

           학문이 깊고 신선처럼 맑고 지유롭게 살아 처사(處士)로까지 불리었던 도연명...

           생활속에서 우러나는 진솔하고 질박한 詩로 중국을 대표하는 자연주의 전원시의 대가로

           꼽히는 그도 자식농사만큼은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   

           술을 너무 좋아해서 자식들이 이를 보고 방종한 것일까, 아니면 무지하고 나태한 자식들 

           때문에 가슴이 하도 답답해서 도연명이 술을 많이 마시게 된 것일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어쩌면...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보고, 듣고, 맛봄으로 한량없는 罪를 지어...

 

            라는 인과응보 때문인지도...!

            천하의 도연명이 자식을 책망하며 한탄하는 詩 '책자(責子)'를 읽어보면, 그의 감추어진

            인간적인 고뇌를 몰래 엿볼 수가 있다. 

            산다는 것은, 어떤 지위에 있건... 무엇을 소유했건... 얼마나 소유했건... 또 어떤 생활을

            하고 있건 간에 누구에게나 고해(苦海)이다.  

            그래서 사바세계(娑婆世界)는 공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