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漢詩, 수룡음(水龍吟)

아라홍련 2013. 10. 10. 02:59

 

 

                                                    水龍吟                                                

                                                    (수룡음)

 

                                登建康賞心亭(건강 상심정에 올라)

   

         楚天千里淸秋                  초나라 하늘 천리가 맑은 가을

         水隨天去秋無際               물은 하늘 따라 흘러가고 가을은 끝이 없네

         遙岑遠目                         아득한 봉우리를 바라보면

         獻愁供恨                         수심을 주고 한을 주는

         玉簪螺髻                         옥비녀 소라 상투 같은 산

         落日樓頭                         해지는 누각 머리

         斷鴻聲裏                         외떨어진 기러기 소리 속에

         江南游子                         강남 나그네

         把呉鉤看了                      검을 잡고 보네

         欄干拍                            난간을 두드려도

         無人會                            사람들은 모른다

         登臨意                            누각에 오른 기분을

 

         休説鱸魚堪膾                   농어회 감당할 수 있다 말하지 마라

         儘西風                            서풍이 한참일 때

         季鷹歸未                         계응은 돌아 왔는가

         求田問舎                         밭 구하고 집사는 일

         怕應羞見                         아마 부끄럽게 여기겠지

         劉郞才氣                         유비의 재기

         可惜流年                         애석하게 지나간 세월

         憂愁風雨                         풍우를 걱정하는 마음

         樹猶如此                         나무가 오히려 이와 같네

         倩何人                            누군가

         喚取紅巾翠袖                  붉은 수건 푸른 소매의 여인을 불러오기를

         英雄涙                            영웅의 눈물이여

 

                                                                                 ~* 신기질(辛棄疾) *~

 

            *  신기질(1140~1207) 

 

                신기질(辛棄疾)은 남송(南宋)의 시인이다.

                    산동성 역성 사람이다.

                    신기질은 23살 때, 이민족 지배 하에 있던 고향을 떠나서 송나라로 왔다.

                    훗날, 추밀도승지(樞密都承旨)를 역임했다. 

                                   

                    수룡음(水龍吟)은 송나라 사패(詞牌) 중 하나이다.

                    이 사패는 이백(李白)의 詩 笛奏龍吟水(피리를 부니 용이 물을 머금는다)에서

                    이름을 따왔다.

                    '소식(蘇軾, 소동파)'도 <수룡음>이라는 사패를 남겼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수룡음>이라는 궁중음악이 있었다.

 

                     제목에 나와있는 건강(建康)은 현재의 남경시(南京市)를 말한다.

                     남송 당시에는 건강부(建康府)였다.

                     '신기질'은 29세 때, 건강부의 통판(通判)을 지냈다.

                     통판은, 부(府)의 정치를 감독하는 감독관이다.

                     '신기질'은 그후에도 '건강'에 여러 번 왔던 것으로 기록에 나와있다.

                     다만, 위의 詩를 '신기질'이 언제 '건강'에 왔을 때 지은 사패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상심정(賞心亭)은 건강성 서쪽 수문 위의 누각을 말한다.

                     그 밑으로 진회수(秦淮水)가 흐른다.

                                      

                     위의 시에 나오는 '계응(季鷹)'은 진나라 사람 '장한(張翰)'의 字이다.

                     진나라 '팔왕의 난' 와중에 제왕 사마경이 정권을 잡아 낙양을 다스릴 때,

                     그를 불러 대사마의 '동조연'이라는 벼슬을 시켰다.

                     그러나 '장한'은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고향의 순채와 농어회를 잊지 못하겠다며

                     수레를 돌려 남쪽 오군(吳郡)으로 돌아간 것으로 유명하다.

                     '오군'은 현재 강소성 소주(蘇州)를 말한다. 

                     절강성에 있는항주(杭州)와 함께 중국이 하늘 아래 가장 아름답다고 자랑하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