飮酒
(술을 마시다)
結廬在人境 오두막 짓고 변두리에 머무니
而無車馬喧 말과 수레로 떠들썩한 일이 없네.
問君何能爾 그대여 어찌 이럴 수 있는가
心遠地自偏 마음이 멀어지니 거처도 더 궁벽해지고 마는가
採菊東籬下 동쪽 울타리 아래 국화꽃 따서
悠然見南山 그저 망연히 남산을 바라본다.
山氣日夕佳 산은 저녁 해에 아름답고
飛鳥相與還 새들은 서로 어울려 돌아온다.
此還有真意 이 돌아옴에는 참된 뜻 있겠지만
欲辨已忘言 말하려 해도 나는 이미 말을 잊었네.
~* 도잠(陶潛) *~
* 이 詩는 고담(枯淡)한 시풍으로 이름높은 도연명의 음주 연작시 중 5번 째 작품이다.
술을 좋아하던 '도연명'은 음주(飮酒)에 관한 연작시를 많이 썼다.
이 詩를 읽어보면 당시 이 시를 쓸 때의 그의 심리를 짐작할 수가 있다.
도연명은 41세 때, 팽택(彭澤) 縣의 현령 즉 현재의 강서성 팽택현의 현령(縣令)으로
부임한지 불과 80일 만에 관직을 사임하며, "歸去來兮!(나 돌아가리라)" 를 발표한 후,
전원으로 돌아갔다.
그 詩가 바로 앞에서 소개한 귀거래사( 歸去來辭)이다.
... 하지만 위의 詩를 읽어보면, 유유자적했던 삶이 때론 사무치게 외롭고 힘들 때도
있었던 모양이다.
그러나 그는 다시는 이전투구인 풍진 속 세상으로 돌아가지 않고 은자(隱者)로 자유로운
삶을 살았다.
그는 그토록 그리워하던 전원의 삶으로 돌아갔다.
인간과 시정의 번잡함이 몸서리쳐져 기꺼이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을 택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들과의 교류가 드물어지고 인적마저 끊기자 때론 외로움과
적막함에 마음이 흔들리기도 했다.
술을 마시자 은연중에 본심이 나온 것인가?...
몸이 멀어지자 마음도 멀어진듯, 절친했던 지인들의 발걸음도 서서히 끊어지고 요란하던
수레바퀴 소리마저 사라졌다.
그래서 술김에 애틋한 마음으로 "그대여! 어찌 그럴 수 있는가?" 하고 원망섞인 질문을
하고 있다.
이 詩를 읽다보면 버드나무 다섯 그루와... 울타리에 심은 국화꽃들과... 잘 익은 술
한 동이... 그리고 화려한 세상이 있는 멀리 아득히 보이는 남산... 서쪽 끝에 걸쳐있는
아름답고 찬란한 저녁 해... 이를 감회에 젖어 아련히 바라보던 자연인 '도연명'의 모습이
마치 한장의 그림처럼 아름다운 실루엣으로 보여지는 것만 같다.
'도연명'은 자신이 선택한 대로 다시는 세속에 나오지 않았다.
전원의 삶을 택한 후, 22년 동안 자연과 벗하며 주옥 같은 작품들을 쓰면서 맑고 고귀한
은자의 삶을 살았다.
어쩌면... 고독(孤獨)은 가장 강한 자의 삶인지도 모른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