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3, 영국왕립천문대 사진 콘테스트 영예의 수상작

아라홍련 2013. 9. 30. 04:21

 

    영국왕립천문대는 지난 4년간 <천문사진 콘테스트>를 통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우주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올해 수상작에는 달의 실루엣에서 유성우, 코로나, 일식, 우주 성단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새롭고 다양한 모습들이 선정됐다.
    콘테스트에는 모두 1천200장의 사진이 출품됐는데, 모두가 놀라운 우주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가운데, 영예의 수상작들을 소개한다.


 

                1. 믿을 수 없는 아름다움...달빛 실루엣
                                                

            

                                              믿을 수 없이 아름다운 달빛 실루엣. 

 

                      <사람과 우주> 부분에 출품해 특별상을 수상한 사진이다.

                      전체 콘테스트의 수상작이다.

                      사진작가는 호주의 마크 기...

                      작품 제목은 '달 실루엣'이다.

                      <지구와 우주 부문>에서도 수상해 2관왕을 차지했다. 

                      수상자는 "뉴질랜드 웰링턴 시에서 2km 떨어진 빅토리아산 조망대에 모여

                      도시를 내려다 보았다. 하지만 이 특별한 날에는 달이 조망대 오른쪽으로

                      솟아올라 구경꾼들에게 멋진 실루엣을 보여주었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2. 코로나...마술같은 붓질 

 

                                

                                  ▲  마술같은 붓질을 보여주는 노르웨이 상공의 코로나.

 

                                   노르웨이의 프레데릭 브롬스가 촬영한 환상적인 사진.

                                   그는 "마술같고 드라마같은 노던라이트 코로나의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소감을 말했다.

                                   사진 속에서 눈처럼 보이는 부분은, 강력한 달빛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3. 일식의 고리

                                   

            

                                           ▲  일식 고리의 아름다움

 

                우리태양계의 카테고리를 보여주는 이 수상작 사진은 일식 중에 생긴 빛의

                고리를 보여준다. 촬영자 만토 휘"육안으로 보여지는 모습을 최대한 생생하게

                촬영하려고 노력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4. 심우주의 성단을 찍다
                                           

             

                                        심우주를 아름답게 표현한 붓질을 상상해 보라!

 

                     심우주부문에서 수상한 애덤 블록의 작품.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15시간동안 노출시켜 찍은 사진이다.

                     수상자 애덤 블록은 이 성단 사진에 대해 "이 가느다란 먼지와 불투명하고

                     차갑고 검은 이 분자 구름의 중심을 표현한 붓을 상상해 보라"고 말한다.

 

                      5. 멋진 우리은하계로 안내하는 등대의 불빛
                                                                 

            

                       '빛을 별로 안내하다.'라는 제목의 사진. 오른쪽 끝은 실제 등대이다.

 

                   <지구와 우주 부문>에서의 수상작.

                   사진작가는 마크 기...

                   맨 위의 사진인 <사람과 우주 부문>에서도 수상한 마크 기의 또다른 수상작이다.

                   '마크 기'는 전체 콘테스트는 물론 <지구와 우주 부문>에서도 수상을 했다.

                   바로 2관왕이다.

                   사진은 뉴질랜드 노드아일랜드에서 우리은하계를 찍은 것인데, 수상작인

                   두개의 사진을 보면 '마크 기'가 천체사진 전문작가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사진 오른쪽 위로 보이는 가장 밝은 빛은 뉴질랜드 케이프 팰리서 등대의 불빛이다.

 

  

                    6. 금성이 태양을 지나는 모습
                                               

            

                                            금성이 태양을 지나는 모습을 찍은 사진

 

                 영국의 샘 콘월은 비너스(金星)가 태양을 지나는 이 놀라운 사진으로 최고

                 신인상인 패트릭무어賞을 받았다.

                 그는 "나는 천문사진에는 아마추어다. 지난 해 금성이 태양을 지날 때 태양계

                 사진을 찍을 드문 기회를 얻었다. 친구들과 카메라장비를 챙겨들고 내가 아는

                 가장 높은 장소인 브레콘 비콘스에 있는 비바람 부는 폭스헌터스그레이브로

                 가서 새벽 2시에 이 사진을 촬영했다"고 말했다.

                 그는 "몇시간도 안돼 그 곳에는 진짜 천문가들로 꽉찼다. 그곳에서 본 것은 내가

                 본 것 가운데 가장 놀라운 광경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7. 수천만개 별이 모인 은하의 모습
                                                  

                                   

                                               수천개의 별이 모인 은하수의 모습. 

 

                             <젊은 우주사진가 賞>을 받은 미국의 14세 소년 제이콥 마치오

                             수상작.  니콘 D3100카메라와 18mm렌즈로 촬영한 은하수의 모습을

                             출품해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수천억 개의 별과 먼지가 모인 은하의 모습이 아름답다.

                                                      

                                       8. 퍼세이드 유성쇼
                                                

                            

                                                     페세이드 유성우(流星雨)의 모습.     

 

                                    데이비드 킹햄의 수상작.

                                    그는 미국 와이오밍 州의 국립 메드신보우 숲에서 페세이드

                                    유성우 쇼를 촬영한 사진을 출품했다.

                                    저녁부터 동트기까지 7시간 동안, 23장의 이미지를 촬영해 만든

                                    사진이다. 

 

 

                                      9. 피요르드 뒤로 지는 혜성의 아름다움
                                             

                                

                                      ▲  피요르드 뒤로 지는 혜성의 모습을 포착했다.

 

                                  노르웨이프레드릭 브롬스가 <지구와 우주부문>에서

                                  이 혜성C/2011 L4 팬스타스((Panstarrs)를 촬영한 사진으로

                                  평론가을 받았다.

                                  팬스타스혜성이 노르웨이 피요르드 뒤로 떨어지는 모습이다.

                                  올해 발견된 이 얼음과 바위로 된 핵을 가진 혜성은 태양을 향해

                                  접근하면서 꼬리에서 수천km나 되는 가스를 내뿜었다.
 

 

                           10. 토성의 고리
                                                      

            

                          ▲  사이프러스에 있는 올림푸스 산에서 촬영한 토성의 모습.

                               토성의 고리와 대기를 신비한 컬러와 함께 보여주고 있다.     

 

                 영국의 대니얼 피치는 사이프러스에 있는 1890미터 높이의 올림푸스 산에서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토성의 고리와 대기가 잘 묘사된 이국적인 사진을 촬영했다. 

 

 

                         11. 보석같은 우주의 성단

                                                                                        

             

                                             ▲  보석같은 심우주의 성단모습.

 

               아일랜드의 톰 오도나휴가 찍은 심우주의 아름다운 보석같은 성단의 모습이다.

               이 희미한 보석들을 촬영하기 위해 그는 무려 60시간 동안 스페인 하늘의 구름속에서

               60시간 동안 카메라를 노출시켰다.

               그는 "사진의 청색과 노란색 지역에서 보듯, 먼지는 가까이에서 오는 별빛을 반사한다"고

               말하면서 "정확히 말하면 밝은 별은 수소가스를 이온화하면서 붉게 빛나게 만들고 있으며

               그 아래의 먼곳에서는 글로뷸화된 클러스터가 수천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