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왕창령의 漢詩

아라홍련 2013. 9. 28. 15:20

 

        *   古典 좋아하는 늙은 제자가 주말임에도 포스팅 안한 내 블로그를 방문한 게 

              하도  안쓰러워 급히 詩 한 수 올린다.

                 미안하다, 늙은 제자라고 해서...

                 그럼 수제자라고 해야 하나?

                 이제 40대 중반이니 늙은 제자라고 해도 된다카이.^^ 

                 내가 대학에서 자네 가르친지도 벌써 15년이 넘지 않았는가.

                 생각할수록 참 대단한 인연일세.  

                    

 

 

 

                                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사촌동생과 남쪽 서재에서 달을 보며 산음의 최소부를 생각하다)

 

                  高臥南齋時           남쪽 서재에 한가히 누웠을 때

                  開帷月初吐           휘장을 여니 달이 막 솟아나네

                  淸輝淡水木           맑은 빛은 물과 나무에 가득하고

                  演漾在窗戶           일렁이는 빛이 창에 어린다

                  苒苒几盈虛           세월에 달은 몇 번이나 차고 이지러졌나

                  澄澄變今古           고금이 변해도 맑고 맑네

                  美人淸江畔           미인은 맑은 강가에서

                  是夜越吟苦           이 밤 월나라 노래 괴로이 읊겠지

                  千里其如何           천리 먼데 어찌하리

                  微風吹蘭杜           미풍이 난초와 두약에 분다

 

                                                                      ~* 왕창령(王昌齡, 698~755) *~  

 

      

                     왕창령은 당나라의 詩人이다.

                               비서성 교서랑과 강녕승, 용표위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왕창령 전집> 5권을 남겼다.

 

                               위의 詩 제목의 산음(山陰)은 현재 절강성 소흥을 말한다.

                               또 '최소부'는 최국보(崔國輔)를 말한다.

                               당시 산음의 현위를 맡고 있었다.  

                               고와(高臥)는 '높이 누움'을 뜻하는데,  벼슬을 하직하고 한가히

                               지냄을 말한다.

                               염염(苒苒)은  점차 풀이 우거진 모양으로, 세월이 흐르는 모양을

                               비유한 것이다.

                               난두(蘭杜)란 향초의 이름이다.

                               두약은 백지, 구릿대의 다른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