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시(漢詩)

아라홍련 2013. 9. 6. 03:02

 

 

 

                                

                                      贈傅都曹別 

                                                (부도조와 이별하며 줌)

 

               輕鴻戲江潭          몸 가벼운 큰기러기 강 연못에서 놀고

              孤雁集洲沚          외로운 작은 기러기 모래톱에 모여 있었지

              邂逅兩相親          우연히 만났다 서로 친해지니

              緣念共無已          인연을 생각함에 서로 끝이 없네

              風雨好東西          비바람이 동서로 요란할 때

              一隔頓萬里          한 번 멀어지니 만 리나 떨어져 있게 되네

              追憶棲宿時          함께 먹고 자던 때 생각하면

              聲容滿心耳         목소리와 그 모습 마음과 귓가에 가득해

              落日川渚寒          해지면 강가 모래톱 차가워지고

              愁雲繞天起          근심에 찬 구름 하늘에서 일어나는데

              短翮不能翔          짧은 날개로 날 수가 없어

              徘徊煙霧里          안개 속만 배회하네

 

                                                                            ~* 포조(鮑照, 414~466) *~

 

              *  포조(鮑照)

 

                   '포조'는 남조(南朝) 송(宋)나라의 시인이다.

       字는 명원(明遠).

         강소성(江蘇省) 연수현(漣水縣) 출신이다.

         '안연지, '사영운'과 함께 원가삼대작가(元嘉三大作家)로 병칭(竝稱)되는 인물이다.

         그의 詩는 품격 있는 강함을 지니고 있어, 두보(杜甫)는 이를 '준일(俊逸)'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또 송나라의 육시옹(陸時雍)은 '포조'를 이렇게 칭송했다.

 

                      포조는 길 없는 곳에 길을 연 사람이다.

 

         그의 악부시(樂府詩)는 가사가 아름답고, 풍격이 빼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의 詩는 풍격이 웅장하고 분방하여, 후대 뛰어난 문학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7언 악부시는 이후 7언가행(七言歌行)의 기초를 닦았다.

                         

         '포조'는 하급관리의 아들로 태어나 출신이 미천하여 벼슬길에 어려움이 많았다.

         참군직(參軍職)을 지내서 일명 '포참군'이라고도 불린다.

         대표작은 <행로난(行路難)> 18수이다.

         <행로난>은 '인생길이 어렵다'는 뜻이다.

         앞서 6월 15일 블로그에 올렸던 이백(李白)의 시 <행로난>도 같은 뜻이다.

         <행로난>은 한나라 시기의 악부(樂府) 제목이다.

         '포조'는 연작시 <행로난>에서 속마음을 털어놓으며, 불우한 자신의 신세에 대한

         분노를 묘사해 권문사대가들에게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했다.

         때문에 그의 詩에서는 반골 기질과 함께, 약자에 대한 연민이 자주 나타난다.

         사부(辭賦)로는 <무성부(蕪城賦)>가 가장 유명하다.

         前에 번화했던 광릉(廣陵)의 모습을, 전쟁 후 황량한 풍경과 대비시켜 세상사가

         덧없다는 비애를 드러낸 서정성이 농후한 작품이다.   

                 

         '포조'는 처음에는 송나라 황족 '유의경'을 섬겨 국시랑(國侍郞)이 되고, 이후

         태학박사와 중서사인(中書舍人), 말릉령 등을 지냈다.

         이후 임해왕(臨海王) '유자욱' 밑에서 형옥참군사(刑獄參軍事)가 되었으나,

         '유자욱'의 반란이 실패하는 바람에 비극적인 생애를 마쳤다.

                   삶은 고단했지만, 워낙 풍부한 재능을 호탕하고 섬세한 시로 승화시켜 칠언시의 

                   선구자가 된 포조(鮑照)...

                   그는 '이백'과 '두보' 등 당나라의 뛰어난 시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 뛰어난

                   문학인으로 중국에서 회자된다.

  

               위의 詩 제목에서 도조(都曹)란, 벼슬 이름을 뜻한다. 

               즉 이 는 '포조'가 '부'씨 성을 가진 도조와 이별할 때, 감회(感懷)에 젖어서

               자신의 심정을 詩로 표현해 선물로 주었던 글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