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9월을 시작하며...

아라홍련 2013. 9. 4. 04:28

 

, photo

 

 

 

                 9월은 가을이 시작되는 달입니다.

                 인디언들은 9月을 이렇게 불렀죠.

                            

                               *   아주 기분 좋은 달 (모호크 族)

                               *   옥수수 거두는 달 (테와 푸에블로 族, 주니 族, 아베나키 族)

                                 검지손가락 달, 춤추는 달 (클라마트 族)

                               *   검정나비의 달 (체로키 族)

                               *   나뭇잎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달 (키이오와 族)

                                 사슴이 땅을 파는 달 (오마하 族)

                                어린 밤 따는 달 (크리크 族)

                                풀이 마르는 달 (수우 族, 북부 아라파호 族, 샤이엔 族) 

                                 다 거두는 달 (호피 族)

                               *   도토리의 달(위시람 族, 후치놈 族)

                               *   도토리묵 해먹는 달 (푸트힐 마이두 族)

                               *  소 먹일 풀 베는 달 (유트 族)          

                           

                 ... 이제 가을의 초입입니다. 

                 옛적에는 지금의 시기를 '맹추지절(孟秋之節)'이라고 불렀죠. 

                 초가을... 첫가을... 개추(開秋)... 소추(小秋)... 조추(早秋)라고도 합니다.

                 그 뜨겁던 삼복염천도 바람의 神 아이올로스의 손짓에 따라 사라지고, 이젠 서늘한

                 갈바람이 뺨을 스치며 지나갑니다.

                 예부터 가을바람은 '총각바람', 봄바람은 '처녀바람'이라고 불렀지요.

                 가을은 아마도 남심(男心)이 깊어지고, 흔들리는 시기인가 봅니다.^^

 

                 9월은 책 읽기 좋은 계절입니다.                

                 이젠 마음을 가라앉히고 좋은 책을 찾아 정성을 쏟아보세요.

                 좋은 책... 영혼을 성장시키는 책... 인간 본질에 관한 책들은 당신의 영혼을 위로하고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이끄는 최선의 방법이 될 거예요. 

                 르네 데카르트(Ren Descartes)는 이렇게 말했죠.

 

                         양서(良書)를 읽는다는 것은 지난 몇 세기 동안에 걸친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對話)를 나누는 것과 같다.

 

                 왜 좋은 책을 읽어야 하는지 가장 극명하게 설명해주는 명언입니다.  

                 이제부터는 공부하기 좋은 계절입니다.

                 공자(孔子)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죠.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悅乎)...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말로,'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란 뜻입니다.

                 이 또한 공부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혜훈(惠訓)입니다.

                 시인 '마종기'님은 이렇게 말했지요.

  

                           이만큼 살아보니까 아름다운 것은 대개 외롭거나 혼자이고,

                           옳다는 것은 대부분 외톨이었다... 

 

                 이분이 인생의 본질을 제대로 꿰뚫었군요.^^

                 인생은 단독자(單獨者)입니다.

                 그래서 인생이 비장한 것이죠.

                 누가 대신 살아주는 것도, 누가 대신 숙제를 해주는 것도, 누가 대신 영적 발전을

                 이루어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오직 자신이 주체가 되어, 자신의 영혼을 성장시켜 나가야만 합니다.

                 그것이 이 별에 온 목적입니다.

                 무리지어 몰려다니고... 패거리를 짓고... 쉴 새 없이 떠들고... 쾌락과 욕망

                 몰두하는 것은 아름답지도, 또한 옳지도 않습니다. 

                 그렇게 살아서는 평생 철이 들지 않아요.

 

                 때론 침묵하고, 때론 깊이 사유(思惟)할 줄 알아야만 합니다.

                 시인의 말처럼 인생의 아름다움은 외로운 것이며...

                 단독자로 있을 때 가장 옳고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쉴 새 없이 공부하고, 꾸준히 자기성찰을 해야 하며, 또한

                 마음챙김을 치열하게 훈련해야만 합니다. 

                 거저 얻어지는 것은 이 세상에 아무것도 없습니다.

                 부화뇌동(附和雷同) 하는 것은, 자아정체성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격이 아직 성숙되지 않았다는 뜻이죠.

                 논어(論語)의 <자로(子路)>편에는 공자의 이런 가르침이 있습니다.

 

                     군자(君子)는 화이부동(和而不動)하고, 소인(小人)은 동이불화(同而不和)니라.

                     (군자는 화합하되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만 하고 화합하지 못한다.)

 

                 '부화뇌동' 이란... 예기(禮記)의 <곡례(曲禮)>에 나오는 말로,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 한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뚜렷한 소신과 줏대없이, 정체성도 없이, 그저 시류를 좇아 남을 따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소인들이 무리지어 다니면서도 분열하고 화합하지 못하는 건 바로 이 때문입니다. 

                 군자(君子)는 남을 자기 자신처럼 생각합니다.

                 그래서 남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때문에 

                 결코 부화뇌동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인(小人)은 다릅니다.

                 이들은 이익과 욕망을 좇아 움직이기 때문에, 이익이 있는 곳에서는 같은 성향의 

                 사람끼리 힘을 합쳐 단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부화뇌동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화를 이루지 못하고 이합집산을 거듭합니다.

                 서로의 이익에 반하면 곧바로 적이 되어 칼을 겨누고, 원수처럼 변해 서로를 비난하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동안 정치판에서, 또조직과 단체에서 이와 같은 일을 무수히 보아왔죠.     

 

                 9月엔 마음을 가라앉히고, 책을 벗하며 차분한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좋은 글들과 함께 보람있고 즐거운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 김시연 작가를 위해서도 변함없는 많은 기도 부탁드려요.^^

 

                                       김시연 작가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