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도연명의 詩 2,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아라홍련 2013. 6. 21. 03:13

 

 

 

                                五柳先生傳

                                               (오류선생전)                                      

    

              先生不知何許人              선생이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하고

              不詳姓字                       성과 이름도 상세치 않으나

              宅邊有五柳樹                 집 주변에 다섯그루 버드나무가 있어

              因以爲號焉                    그것을 호로 삼았다

              閑靜少言                       유유자적 조용히 말이 적고

              不慕榮利                       영리를 사모하지 않았다

              好讀書                          독서를 좋아하나

              不求甚解                      심각히 이해하려 하지 않았지만

              毎有會意                       뜻이 맞을 때마다

              欣然忘食                       밥먹는 것마저 잊었다

              性嗜酒                          천성은 술을 좋아하나

              而家貧不能恒得              집이 가난해 항상 얻을 수 없었다

              親舊知其如此                 친구들이 이런 사정을 알고

              或置酒招之                    가끔 술을 두고 그를 초대했다

              造飮必盡                       마시러 가면 반드시 다 마셨고

              期在必醉                       반드시 취하려 했다

              既醉而退                       취하면 돌아왔고

              曾不吝情                       정에 인색치 않았다

              環堵蕭然                       에워싼 담은 쓸쓸해

              不蔽風日                       바람과 햇볕을 가리지 않았다

              短褐穿結                       짧은 갈옷을 꿰어 입었고

              箪瓢屡空                        소쿠리와 바가지는 자주 비어도

              晏如也                           편안해 했다

              常著文章自娯                 늘 문장을 짓고 스스로 즐거워하며

              頗示己志                        가끔 그 뜻을 내보였다

              忘得失                           이해와 손실은 잊었고

              以此自終                        이렇게 스스로 마지막을 맞았다.

 

                                                           ~* 도잠(陶潛, 陶淵明) *~

 

*  도연명(淵明, 365-427)

                                              

     중국 송대(宋代)의 대표적인 詩人.

     강서성 구강현 남쪽 출신이다.

     동진(東晉) 때 태어나 남조(南朝)의 송나라 초기에

     활동했던 詩人이다.

     이름은 (潛)이고, 자는 연명(淵明), 또는 원량(元亮) 

     이다.  

 

     집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고, 스스로 오류선생 

     (五柳先生)이라고 자호(自號)를 붙였다.

     담백한 詩風이 특징이다.

     이 詩는 '도연명'이 자기 자신을 주인공으로 삼아, 자신에

     대해 묘사한 작품이다.

     위의 詩에서 곤화(崑華)란, 곤륜산과 화산을 뜻한다.

     신선이 노니는 산을 의미한다.

     또 오정(五情)은 眼耳鼻舌身의 오근(五根)에서 생기는

     욕망을 말한다.

     즉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즐거움(樂), 욕심

     (欲心)을 뜻한다.

 

     도연명은 29세에 벼슬길에 올랐으나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을 버리지 못했다.

     41세에 누이의 죽음을 구실 삼아 사임한 뒤, 다시는

     관계(官界)에 나가지 않고 은자(隱者)의 삶을 택했다.  

     이때 관직을 사임하면서 쓴 詩가 바로 그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이다.

     이후, 향리의 전원에서 농사를 지으며 유유자적 살다가 63세에 생애를 마쳤다.   

     도연명의 詩는 사언체(四言體) 9수와, 오언체(五言體) 115수, 산문 11편이 전해진다.  

     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은 80여 수에 불과하다.

     도잠의 작품은 따스한 인간미와 고담(枯淡)의 기풍이 서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나지 않는 자연스러움과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경지는, 전원적인 삶에서 우러나는

     그의 맑고 따뜻한 심성의 산물이다.     

     소동파(蘇東坡)는 도잠의 詩를 이렇게 칭송했다.

 

             그의 시가 오래도록 주목받고 애송되는 까닭은, 고요하고 자연스러운

             읊조림과 멀리 세속의 티끌을 넘어서서 맑고 깊은 운치를 칭송하는

             선경(仙景)의 경지 때문이다. 

   

     술 좋아하기로는 도잠 또한 빠지지 않았다. 

     대단한 애주가였다.

     도연명은 술을 마시기 위해 관직에 나갔다고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이렇게 밝혔다.  

 

             공전(公田)의 수확으로 족히 술을 빚어 마실 수 있어 팽택의 지방 관직을 얻었다.

 

      그는 음주(飮酒)라는 20수 연작시에서 술을 '망우물(忘憂物)'이라고 이름 붙였다.

      '근심을 잊게 하는 물건'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 담배를 '망우초(忘憂草)'라고 부른 것과 일맥상통한다.               

 

                              一觴雖獨進, 杯盡壺自傾

            (잔 하나로 홀로 마시다 취하니, 빈 술단지와 더불어 쓰러진다.)

 

      대표적인 술꾼으로 취음선생(醉吟先生)으로 불린 백거이, 애주가 중의 애주가 이백(李白),

      술을 좋아했던 동파, 관복을 맡기고 술을 마셨던 두보(杜甫), 술을 마시기 위해 관직에

      나갔다고 토로한 도연명, 남자보다 더 술을 사랑했던 수옥 이청조(李淸照)...

      이들이야말로 중국 문학사에 빛나는 진정한 술꾼들이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