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소동파 詩 3

아라홍련 2013. 6. 18. 03:35

 

                                                                  春夜 

                                                     (봄밤)  

                       

 

                春宵一刻値千金              봄밤 십오분 가치는 천금

               花有淸香月有陰           꽃에는 맑은 향, 달에는 그늘

               歌管樓臺聲細細           음악이 흐르는 누대 소리는 가늘고

               鞦韆院落夜沈沈           그네가 있는 뜰, 밤은 침침해

 

                                                                           ~*소식(蘇軾, 소동파) *~

                                                                             (北宋의 詩人. 1036~1101)

 

        

                                              <소동파 초상화, 조맹부 그림>

 

 

        * 참 대단한 그림이다.

                '소동파'를 가장 잘 묘사한 그림이기도 하지만, 이 그림을 그린 '조맹부'가

                보통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글씨의 大家로 널리 알려진 조맹부(趙孟頫, 1254~1322)는 號가 '송설(松雪)'

                이다. 별호는 '수정궁도인'으로 불린다.

                송대 황족의 혈족이지만, 원대(元代)에 와서 승승장구했다.

                이 때문에 조맹부를 맹렬히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상서성(尙書省), 병부랑중(兵部郞中), 집현전 학사, 한림학사승지,영록대부 등을

                거쳐 관직이 일품(一品)에까지 이르렀다.

                만년엔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졌다.

                원사(元史)에는 조맹부를 "재기가 출중하고, 풍채가 훤하여 마치 신선같은

                사람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그의 부인인 '관도승(管道昇)'도 위국부인에 봉해졌다.

                '관도승' 또한 元代의 저명한 서법가이자 화가, 문학가이다.

                세상에서는 그녀를 일컬어 '관부인(管夫人)'이라고 불렀다.

               

                조맹부의 서법(書法)은 조체(趙體) 또는 송설체(松雪體)로 불릴 정도로

                유명해 원대(元代)에는 신품(神品)이라고 일컬어졌다.

                또 회화에도 조예가 뛰어나 그림에 '옛스런 내용(古意)'를 담으려고 하여 

                화단의 영수로써 원대에는 물론, 명나라와 청나라까지 영향을 미쳤다.

                그런 조맹부가 그린 '소동파'의 그림이니 최고의 그림이다.

 

                수옥 '이청조'와 '조명성'의 사랑 못지않게, '조맹부'와 그의 부인 '관도승'의

                사랑 얘기도 유명하다.

                관도승은 불자(佛者)여서 호주(湖州)의 첨불사(瞻佛寺)에 가서 향을 태우곤

                했다. 한데 어느 날, 절의 스님이 그녀의 명성을 듣고 그림 한 폭을 부탁했다.

                '관도승'은 이를 거절하지 못하고 절의 동쪽 벽에 거대한 수죽도(修竹圖)를

                그려주었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이 그림을 구경했고, 마침내 '조맹부'의 귀에

                까지 소문이 들어갔다.

                '조맹부'가 직접 가서 보니 대나무가 조밀한 가운데서도 성기고, 어린 대나무나

                오래된 것이나 정말 기묘하게 그렸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두 사람은 혼인을 했다. 

                당시 '관도승'은 28살의 나이로 만혼이었다.   

                부부는 평등한 관계에서 낚시를 함께 다니기 좋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혼인한 지 10년이 넘은 어느 날 ...

                명성을 떨치던 '조맹부'에게 '최운영'이라는 젊은 기녀가 나타나 사랑을

                하게 된다.

                그래서 '조맹부'는 첩을 두겠다며 사(詞牌)를 지어 아내에게 보여주었다.

 

                         나는 학사고, 당신은 부인이오.

                         왕(王)학사에게는 '도엽'과 '도근'이 있고, 

                         소(蘇)학사에게는 '조운'과 '모근'이 있다는 소리를

                         어찌 못 들었소?

                         나는 곧 몇 명의 오희(吳姬), 월녀(越女)를 얻을 것이오.   

                         당신은 이미 나이가 40이 넘었으니, 나의 심신을 독점하려

                         하지 마시오.

 

                 왕학사는 '왕안석'을, 소학사는 '소동파'를 넌지시 빗대어 그들의 첩 이름을

                 언급하며, '조맹부' 자신도 첩 명 명을 거느리겠다고 아내에게 공표한 것이다.

                 당시에는 삼처사첩(三妻四妾)이 용인되던 시기였다.

                 그러자 '관도승'은 자신의 심정을 읊은 <아농사(我儂詞)>를 지어서 남편에게

                 보여주었다   

 

                                     당신과 나, 대단히 정이 많아.

                                     정이 많은 곳엔 열정이 불붙지.

                                     한줌 진흙으로 당신하나 빚고 ,

                                     나하나 만드네. 

                                     갑자기 즐겁구나.

                                     앞으로 우리 둘이 함께 허물어지겠지. 

                                     다시 새롭게 물을 부어 다시 이기고,

                                     다시 반죽하고, 다시 조화를 만드네.

                                     다시 당신 하나 빚고,

                                     다시 나하나 만드네.

                                     내 진흙 속에 당신이 있고, 

                                     당신 진흙 속에 내가 있고,

                                     나와 당신 살아생전 한 이불을 덮었으니

                                     죽어서도 하나의 관속에 들어갔으면...!    

 

                 이 글을 읽은 '조맹부'는 눈물을 머금고는, <유소사(有所思)>를 보낸 뒤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최운영'에게 단절사(斷絶思)를 보내고 헤어졌다.

                 그리고 두 번 다시 딴짓을 하지 않았다. 

                 '조맹부'와 '관도승'의 아름다운 고사(故事)는 부부가 같은 취미를 가지고,

                 두 사람 다 수준 높은 재능을 가지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깊은 사랑으로 서로를 존중하고, 넌지시 애둘러 말하는 그들의 행동에서

                 그들의 작품만큼 인품 또한 높고 고결했음을 느낄 수가 있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