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거이 詩 5, 호수 위에서...

아라홍련 2013. 6. 16. 03:16

 

 

 

 

 

                                     春題湖上                        

                                                           (호수 위에서 봄에 적다)

 

 

             湖上春來似畫圖        호수에 봄이 오니 흡사 그림 같구나 
             亂峯圍繞水平舖        주변 봉우리 에워싸니 수면이 잔잔하다

             松排山面千重翠        소나무들 산에 늘어서 천겹 푸르름

             月點波心一顆珠        달은 물결 가운데 한 알 구슬을 찍어두네

             碧毯線頭抽早稻        푸른 융단 끝자락에는 새싹이 올라오고 
             青羅裙帶展新蒲        파란 비단 치마로 새 자리를 펼쳐놓은 듯

             未能抛得杭州去        항주를 떠나는 것은 포기할 수 없는데
             一半勾留是此湖        절반 쯤 붙잡는 것이 이 호수...

 

                                                                ~* 백거이(白居易) *~

 

 

                              

                                    <백거이(772~846)의 초상화>

 

 

      *  이 詩 '春題湖上'은  '백거이'가 항주자사(杭州刺史)였을 때 지은 시이다.

             '자사'란 지방장관을 뜻하며, 지금의 도지사 정도의 지위이다. 

             위의 시에서의 호(湖)는 항주의 서호(西湖)를 말한다.

             일명 '아시아의 베니스'로 불리는 서호는 항주부성 서쪽에 있는 주위의 둘레가

             30리인, 물관리를 위해 물을 뺐다 넣었다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인공호수이다.

             항주부성 서쪽에 있는 서호는 주변경관과 어우러져 어느곳이 땅이고, 어느 곳이

             물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중국 최고의 명소이다.

 

             항주는 2,200년 전 진(秦)나라 때 건립된 도시로 중국의 7대 고도(古都) 중의 

             한 곳으로 꼽히는 도시이다.

             저장성(浙江省)의 북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중국 대운하의 동쪽 끝이다.

             지금으로부터 7,000년 전 장강(양쯔강) 유역에서 일어난 양저문화(良渚文化)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또 벼농사 유적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인 신석기 문명의 대표 유적인

             기원 전 5,000~4,500년 전의 하모도 문화(河姆道 文化) 유적이 있는 곳이다.

            

             그렇다면 항주(抗州)의 이름이 붙여진 것은 언제부터일까?...

             바로 당(唐)나라 때부터이다. 

             907~978년까지 5대 10국 시대엔 오월국(吳越國)의 수도가 되었고, 서호(西湖)라는

             이름도 그때 만들어졌다.

             북송 수도인 '개봉'이 여진족인 금나라에 의해 함락되자, 10세기에는 남송(南宋)이 

             항주에 수도를 세우고 위대한 문화를 꽃피웠다.  

             1276년, 남송이 몽골인 원(元)나라에 의해 멸망하자, 항주는 몽골 제국이 구축한

             육상 네트워크와 해상 세계를 묶어 교역이 한층 더 발전하게 됐다.

             항주는 중국이 "하늘에 천당이 있다면, 중국엔 항주(抗州)와 소주(蘇州)가 있다."

             자랑할만큼 아름다운 곳이다.

             산천이 뛰어나고 경치와 풍물이 화려해 당대(唐代) 이래 동남지방에서 유람하고

             음풍농월(吟風弄月)을 감상하는 가장 빼어난 곳이었다.

             <대명일통지> 권38, '절강포정사'를 보면 '서호 10경'이 나온다.

             바로 평호추월(平湖秋月), 소제춘효(蘇隄春曉), 단교잔설(斷橋殘雪), 뇌봉락조

             (雷峯落照), 남병만종(南屛晩鍾), 국원풍하(麴院風荷),화항관어(花港觀魚),  

             유랑문앵(柳浪聞鶯), 삼담인월(三潭印月), 양봉삽운(兩峯揷雲)이다.

 

             내 블로그에서 漢詩를 소개하면서 가장 많이 언급된 곳이 바로 장강(양쯔강)과

             항주(抗州)이다.

             그만큼 중국 최고의 문인들은 이 두 곳과 깊은 연관이 있다.

             기억을 한 번 되살려 보라!

             항주, 하면 무슨 생각이 드는가?

             수옥 '이청조'가 유랑생활을 했던 곳...

             당나라와 송나라가 배출한 걸출한 문인들이 항주에서 지방관으로 근무했던 곳...

             '백거이'와 '소동파'가 자사(刺史)를 역임한 곳...

             남송(南宋)이 아름답고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던 곳...

             그래서 한시를 소개하면 가장 많이 언급된다.

             특히 중국의 걸출한 문인들은 장강 항주를 소재로 걸작들을 남겼다.

             서호에는 '소동파'와 '백거이'가 항주에서 지방장관으로 근무하며 쌓은 둑이 있다.

             '백거이'가 쌓은 둑은 '백제(白堤), 소동파가 쌓은 둑운 '소제(蘇堤)라고 불린다.

             이 때문에 백성들의 삶이 많이 윤택해졌고, 훌륭한 목민관이었던 이들을 항주

             백성이 기리기 위해 세운 동상이 아직도 이들의 치적을 자랑스럽게 확인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비파행>과 <장한가>를 쓴 당나라 때의 대표적 문인 '백거이'는 언제

             항주자사를 역임했을까?

             기록을 보면, '백거이'는 서기 821년부터 824년까지 3년간 항주에서 지방장관으로 

             근무한 것으로 나온다. 

             그의 나이 51세 때의 일이다. 

             다시 기억을 되살려보기 바란다.

             백거이가 항주와 소주의 자사(刺史)로 있을 때 접한 지상낙원을 그리워하며 쓴

             詩인 '억강남(憶江南)'의 해설에서 언급했듯 백거이는 815년, 오지인  강주사마로

             유배를 갔다.

             간관(諫官)이 아니면서 왕에게 직언을 올렸다가 조정의 분노를 샀기 때문이다. 

             바로 그곳에서 자신의 처지와 비파를 켜는 한 늙은 창부의 신산한 처지를 동일시 

             하여 윤락인(倫落人)이라고 표현하며  <비파행>이라는 걸작을 탄생시켰다.

             다시 언급하지만 '윤락'이라는 뜻은 본래 '물에 빠지고 땅에 떨어진다."는 의미이다.

             지금 쓰이고 있는 의미 와는 전혀 다르다.   

             그리고 목종 즉위 후 다시 중앙에 불리워졌다가 항주 자사, 소주 자사를 역임한다. 

             '백거이'나 '소동파'의 삶을 추적해 보면, 이들의 관리생활은 한마디로 파란만장하다.

             당쟁이나 직언에 연루돼 이리저리 유배를 다녔다.            

             그러나 당나라 문인 '백거이'는 강주(江州)에서 뼈아픈 유배생활을 하며 '비파행'

             이라는 중국의 문학사에 빛나는 걸작을 탄생시켰고, 북송의 대표적 문인 '소동파'는

             황주(黃州)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적벽부>와 <후적벽부> 등 대표적인 작품들을

             탄생시켰다.            

             예술가들은 힘들고 괴로울 때, 위기와 고난에 처해 삶에 절절한 애환이 있을 때,

             그때 아마도 천재적인 시상(詩想)이 떠오르는 게 분명한 듯하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