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모희진 詩 1, 장미를 희롱하다...

아라홍련 2013. 6. 9. 03:05

 

               

 

 

 

                                 定西番

                                  (정서번)      

   

                 蒼翠濃陰滿院        짙푸른 그늘이 정원에 가득한데

                 鶯對語              꾀꼬리 서로 지저귀고

                 蝶交飛              나비 쌍으로 날며

                 戲薔薇              장미를 희롱한다

 

                 斜日倚欄風好        저녁 난간에 기대면 바람이 좋아

                 餘香出綉衣          희미한 향이 옷에서 나네

                 未得玉郞消息        님의 소식 받지 못하니

                 幾時歸                            언제나 돌아올지...

 

                                                       ~* 모희진(毛熙震) *~

   

 

                   *  '모희진' 생몰연대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오대(五代) 시기인 후촉 맹창(孟昶) 시기에 비서감(秘書監)을 역임한

                        인물이다.

                        '오대'란, 중국 당나라가 망한 후 약 50년 간 중국의 화북 지방에 일어났던

                        다섯 왕조를 말한다.

                        즉 당나라와 송나라 사이의 과도기에 중원(中原)에서 잠깐 흥망성쇠 했던

                        후량(後梁, 907~923), 후당(後唐, 923~936), 후진(後晉, 936~945), 후한

                        (後漢, 947~950), 후주(後周, 951~960) 등 다섯 왕조를 일컫는다.  

                        비서감이란 경적(經籍), 도서(圖書), 저작(著作) 등의 일을 관장하는

                        비서성(秘書省)의 책임자 장관을 말한다.

                        모희진(毛熙震)은 음률에 정통해 사(詞)를 신성(新聲, 새로 지은 곡)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정서번(定西番)은 사패(詞牌, 곡조)의 한 종류이다. 

 

                        그동안 漢詩를 소개하면서  여러 번 언급했지만, 사(詞)란 악곡의

                        가사로 쓰이던 것이 민간에서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곡자사(曲子詞)로

                        불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훗날 이를 다시 (詞)라고 줄여서 불렀다.

                        초기의 작품은 중당(中唐)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詩가 아닌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로 인식하게 된 것은 당말(唐末)부터 오대(五代) 후이다.

                        사(詞)의 작풍은 보통 완약, 호방, 전아, 영물 등 여러 파로 나뉘는데,

                        詩에서 표현하기 부족한 섬세한 美感이나 감정을 독백 형식으로 읊는

                        특징을 갖고 있다

                        주요 사집(詞集)으로는 '화간집(花間集)', '존전집(尊前集)', '절묘호사

                        (絶妙好詞)' 등이 있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