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오파트라>
<클레오파트라>
<리즈 테일러가 분한 클레오파트라>
클레오파트라는 기원전 50년 경, 극적인 삶을 살았던 파라오이다.
정확한 명칭은 클레오파트라 3세이다.
고대 이집트 역사 연대기 문헌에 의하면 이집트엔 클레오파트라 라는 이름의 여왕이
여러 명 있었다.
그 중 팜므파탈(femme fatale)의 원형으로 잘 알려진 클레오파트라 3세의 활약상이
가장 두드러졌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바로 그 파라오이다.
클레오파트라는 파라오 율법에 따라서 남동생들과 두 번씩이나 결혼한 후, 파라오의
자리에 올랐다.
왕권을 쟁취하기 위해 남동생이자 남편인 프톨레마이오스 14세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치열한 권력투쟁과 암투를 벌인 끝에 결국 왕좌를 차지했다.
후대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부분은 클레오파트라가 로마의 지배자인 두 남자,
즉 권력의 화신인 카이사르와 안토니우스 두 남자를 유혹해 결국 죽음에 이르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기원 전 48년, 클레오파트라는 남편인 프톨레마이오스 14세와의 권력투쟁에서 패배해
강제로 폐위된 후 유배상태에 있었다.
막다른 골목에 처한 클레오파트라는 이집트를 침공한 카이사르의 막강한 힘을 빌어
왕위를 되찾으려는 음모를 꾸민다.
알렉산드리를 정복한 카이사르가 이집트 왕국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알아 낸 그녀는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삼엄한 경계를 뚫고 카이사르에게 접근한다.
반나체의 옷차림으로 양탄자에 누운 클레오파트라는, 충복을 시켜 자신을 둘둘
말아줄 것을 명령했다.
충복은 어깨에 멘 양탄자를 카이사르의 호위 병사들에게 보인 후, 집정관에게 값비싼
선물을 전해주러 왔다고 얘기한다.
고급스런 큰 양탄자에 호기심을 보인 카이사르는 어서 양탄자를 풀어보라고 명령했다.
양탄자를 풀자 뜻밖에도 눈부시게 아름답고 관능적인 농염한 여인이 나타났다.
클레오파트라에게 한눈에 반한 카이사르는 곧바로 그녀와 연인관계가 된다.
그리고 연인의 정적들을 차례로 제거한 후, 클레오파트라를 다시 왕좌에 앉혔다.
미모를 이용해 카이사르의 권력을 뒷배로 왕권을 되찾고, 피맺힌 복수까지 한 것이다.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르 와의 사이에 아들 '카이사리온'까지 낳고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그러나 의외의 위기를 맞게 된다.
카이사르가 정적들에 의해 암살된 것이다.
그러자 이번엔 최고의 권력자로 부상한 안토니우스를 점찍는다.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 사령관에 임명된 안토니우스가 동방 원정길에 올랐다는 정보를
입수한 클레오파트라는 안토니우스를 유혹하기 위해 기상천외한 계략을 짰다.
온갖 보석으로 치장한 배를 타고 강을 거슬러 올라가 타루수스(現 터키 지방)에서
안토니우스를 만났다.
선체는 황금빛이었고, 바람을 받아 한껏 부푼 돛은 자주색의 값비싼 직물이었다.
갑판 중앙에는 금실로 수놓은 장막이 좌우로 열려져 있었고, 그 아래 옥좌에는 비너스로
분한 클레오파트라가 요염하게 앉아 있었다.
남자 노예들은 은으로 만든 노를 열심히 저었고, 여자 노예들은 하프 소리에 맞춰서
관능적인 춤을 추었다.
또 배에서는 정염(情炎)을 북돋우는 향기가 진동했다.
안토니우스는 한순간 정신을 잃을 정도로 클레오파트라에게 마음을 뺏기고 말았다.
이 극적인 만남 이후, 클레오파트라는 그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혹여 안토니우스가 권태를 느낄까 봐 저어하여, 늘 새로운 쾌락을 개발했다.
또 날마다 산해진미에 악사와 무희를 동원한 최고의 공연을 제공했다.
이런 생활은 10년 동안이나 지속됐다.
안토니우스의 사랑을 믿게 된 클레오파트라는 마침내 그와의 결혼까지 꿈꾼다.
이미 그녀의 노예가 된 안토니우스는 신분과 국적, 동양과 서양이라는 차이를 무시한 채
이국의 여왕과 결혼을 감행했다.
또 그녀에게 결혼선물로 엄청난 이권이 딸린 오리엔트 지방의 통치권을 주었다.
이로써 클레오파트라는 지중해 인근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은 재물과 권력을 소유한
여왕이 됐다.
사랑에 눈이 먼 안토니우스는 로마에 있는 아내인 옥타비아에게 이혼을 요구했다.
더 나아가 또다른 권력의 축인 옥타비우누스에게 로마의 통치권을 동서로 양분해 나눠
갖자고 제안하기에 이른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자 원로회의에서는 이를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안토니우스가 국사를 돌보기는 커녕, 힘들게 정복한 식민지에서 나온 귀한 수입을 이방인에
불과한 이집트 여왕에게 모두 다 갖다바치는 짓은 역적과 다름없는 일이었다.
특히 카이사르의 상속자이자 양자인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를 로마의 수치로 생각했다.
그는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를, 국가의 명예를 더럽힌 탕아와 국제적인 창녀로 공공연히
매도했다. 그리고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과감히 전쟁을 일으킨다.
기원전 31년에 벌어진 악티움 해전(Actium 海戰)에서는 옥타비아누스가 승자가 되었다.
패전사령관이 되어 벼랑 끝에 매달린 안토니우스는 결국 자결하고 만다.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안토니우스의 묘를 참배하고 온 클레오파트라는 곧바로 최후를 맞았다.
여왕의 죽음은 한 농부가 찾아와 무화과 바구니를 전한 직후에 일어났다.
역사가들은 그녀가 바구니에 숨겨져 있던 독사에 물려 죽은 것으로 추정했다.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연합군을 격파한 후, 황제가 되면서
공화정을 제정(帝政)으로 바꾸었다.
그녀가 세계 최고의 미녀, 희대의 요부로 불리는 것은, 정치적인 야심을 실현하기 위해
최고 권력의 자리에 있던 두 남자를 차례로 유혹해 희생의 번제물로 삼았기 때문이다.
클레오파트라를 팜므파탈, 즉 '나쁜 여자'의 원형이라고 정의하는 이유이다.
자신의 아름다움과 성적인 매력을 이용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왕좌을 차지했고,
애인들의 막강한 힘을 빌어 무자비하게 정적을 제거한 후 엄청난 부귀영화를 누렸다.
때문에 클레오파트라는 세계 최고의 미인이자 팜므파탈이라는 평가 속에, 아직도 많은
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
심지어 지금으로부터 약 2천 년 전, 클레오파트라가 마셨던 한잔의 와인, 그 속의 물분자는
체외로 배설된 후 증발하거나 하수를 통해 바다를 거치는 등의 순환을 거쳐서 현대의
우리가 마시는 물 속에 들어있다고까지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 컵의 물 속에는 당시의 클레오파트라가 마셨던 와인의 물분자가 평균 10개씩 있다고
주장할 정도이다.
<양귀비꽃>
<양귀비(楊貴妃)>
말이 필요없는 경국지색 양귀비(楊貴妃)...
그녀에 대해서는 그동안 블로그에서 여러번 언급했다.
백거이의 詩 <장한가>에서, 그리고 중국의 4대 미녀에서도 양귀비에 대해 비화까지
곁들여 자세히 언급했다.
전세계에서 중국의 4대 미녀와 세계의 3대 미녀에 꼽히는 여인은 양귀비가 유일하다.
그 정도로 절색으로 알려져 있다.
양귀비는 다른 미녀들처럼 가련할 정도로 날씬한 임풍양류(臨風楊柳) 스타일이 아니다.
부귀모란(富貴牧丹)형, 즉 글래머스타일이다.
유일하게 그 시대에만 이를 자질풍염(資質豊艶), 즉 '풍만하고 요염하다'고 아름답게
보았다.
시대를 정말 잘 타고난 여인이다.
양귀비는 미모만 뛰어났던 게 아니다.
가무를 잘하고 음률에 통하는 등 음악에 조예가 깊었다.
특히 비파 탄주와 춤, 격경(擊磬)에 절등했다.
당시 현종은 음악에 미쳐있을 정도로 다재다능한 군왕(君王)이었다.
음악으로 고독한 심사를 위안하고자 추구했던 인물이다.
그런 면에서 양귀비가 가무에 뛰어난 것은 현종의 총애를 받는 데 있어 가장 큰 덕목이었다.
당현종과 취미가 같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백거이는 양귀비의 요염한 자태를 보며 이렇게 詩를 노래하기까지 했다.
緩歌慢舞凝絲竹 느린 노래, 나른한 춤, 여운 긴 가락
盡日君王看不足 황제는 넋을 잃고 온 종일 바라보네.
천하일색인 그녀의 미모는 결국 성왕인 당현종을 어리석은 임금으로 만들고, 국운이
왕성하던 당나라를 위기로 내몰았다.
<일본의 절세가인 오노노 고마치>
<오노노 고마치>
<오노노 고마치>
일본의 절세가인으로 불리는 오노노 고마치는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92년)의
'와카(和歌)' 詩人이다.
일본이 자랑하는 절세미인이다.
일본에서 '고마치'라는 이름은 美人의 대명사로 불린다.
'고마치'라고 하는 지명이 있는 곳은 모두 미인의 고향이다.
오노노 고마치의 고향인 아키타(秋田) 현의 신칸센에는 '고마치'라는 애칭이 붙어있고,
일본 쌀 품종 중에는 '아키타 고마치'라고 아키타 현에서 나오는 품종이 있을 정도이다.
오노노 고마치는 일본에서 자랑하는 천하일색이자 훌륭한 시인이다.
그녀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6가선(六歌仙) 가운데 유일한 여성 가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노노 고마치는 공식적으로 생몰년대를 알 수 없다.
초상화 또한 남아 있지 않다.
그녀의 삶은 신비한 베일에 휩싸인 채, 1000년 동안 그윽한 향기를 내뿜으며 전설처럼
남아있다.
하지만 살아생전 둘도 없는 미모를 지녔고, 아름답고 뛰어난 문장으로 명성을 떨쳤다고
전해 내려온다.
그러나 자료가 여기저기서 나오면서 그녀에 대한 실마리가 조금씩 풀리고 있다.
생몰연대는 809~901년, 92세까지 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시로서는 상당히 장수한 것이다.
와카(和歌)는 일본어 음절을 5.7.5.7.7의 5구절 31음의 형식으로 읊는 일본 고유의 짧은
정형시이다.
우리나라의 향가(鄕歌)와 비슷하다.
오노노 고마치는 우리나라로 치면 향가작가나 시조작가인 셈이다.
일설에 의하면 오노노 고마치는 천왕이 있는 궁중에서 시중을 들던 궁녀였다고 한다.
경국지색에 재능까지 넘쳐 재색을 겸비한 여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어떻게 생겼는지 추측할 수 있는 그림이나 기록은 전무하다.
다만 워낙 인기가 높아 그녀를 흠모하는 남자들이 많았으며, 요시미네노 무세사다
(良峰宗貞) 라는 젊은 승려는 매일 밤 그녀를 찾아오다가 99일 째 되는 날에 지치고
얼어서 생을 마감했다는 얘기만 전설처럼 내려온다.
중국에 '양귀비'를 주인공으로 한 공연물이 많다면, 일본에는 단연 '오노노 고마치'를
주인공으로 한 다양한 공연물이 많다.
오노노 고마치는 교토의 즈이신인(隨心院)에서 92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녀가 남긴 詩 중 10여 수만 전해 내려오는데, 오노노 고마치의 뛰어난 문학적 재질은
일본인의 긍지로 전설처럼 회자되고 있다.
'고킨슈(古今集)'라고 하는 최초의 관찬 아카집에서 전하는 그녀의 노래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바로 이 詩들이다.
"그리움에 사무쳐 잠들면 눈에 어리는 님이여!
꿈인 줄 알았다면 깨어나지 않았을 건데..."
"꽃이 어느새 색이 바랬네.
이 몸 공연히 이 세상에서 긴 비에 근심하는 동안에...."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