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보랏빛 꽃나무

아라홍련 2013. 6. 1. 10:08

 

       *   LA의 가로수로 지금 한창 많이 피어있는 보랏빛 꽃 이름

            무엇일까? 

            꽃도 금방 지지 않고 오랫동안 피어있는 참 좋은 꽃 같은데...!

            우리나라도 미국이나 유럽처럼 도시의 가로수를 이런 화사한

            꽃나무들로 바꾼다면 혹여,  기품있는 도시로 변하려나...?

            문득, 색상과 구조적 환경이 인간의 심성과 정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는 논문이 생각난다.

            그것이 국민성으로도 연결된다는...       

 

                                        

 

 

 

 

                                                        幽懷                                                   

                                                     (깊은 시름)

 

                幽懷不可寫                 깊은 시름 떨치지 못해

                行此春江潯              렇게 가보네 이 봄 강가

                適與佳節會              함께 좋은 계절에 만나

                士女競光陰              내와 여인 서로 봄빛을 다투네

                凝妝耀洲渚              치장한 모양새 모래톱에 빛나고

                繁吹蕩人心              바람부니 사람 마음도 흔들리네

                間關林中鳥              제멋대로 요란한 숲속의 새는

                知時爲和音              때를 알아 화음을 짓는 구나

                豈無一樽酒              어찌 한동이 술이 없으리

                自酌還自吟             스스로 술 따르고 또 노래해본다

                但悲時易失              슬픈 것은 시간이 쉽게 가버리는 것

                四序迭相侵              사철은 교대로 서로를 침범하며 지나간다

                我歌君子行              나 군자의 노래를 부르노라니

                視古猶視今              옛날 일이 오히려 지금 같네

 

                                                                                   ~* 한유(韓愈) *~

  

 

          *  한유(768 ~ 824)

 

               당나라 때의 유학자이자 불세출의 산문의 대가(大家)이다.

               字는 퇴지(退之).

               시호로 文을 받았기에 한문공(韓文公)이라고 부른다. 

               중당(中唐) 시기를 산 사상가이며 정치가인 동시에 걸출한 산문가,

               창의성을 발휘한 특색있는 시인이기도 하다.

               그밖에도 사상계와 정계, 문단 등 다방면에서 걸출한 발자취를 남겼다.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했다.

               '한유'는 위진남북조를 거치면서 쇠퇴한 유학을 부흥시키려 노력하고, 

               대신 불교와 도교를 배척하는 운동을 전개했다

               또 군벌들의 지방 할거(割據)를 반대해 토벌 전쟁에 참여해 공을 세웠고,

               당대의 정치적 폐단을 공격하는 데도 용감했다.

               지방관으로 있을 때는 백성들을 위해 많은 치적을 남겼다.

               특히 산문 방면에서 그는 육조(六朝) 이래 문단을 풍미해 온 변려문의

               폐단을 통렬히 지적하고, 선진(先秦)과 양한(兩漢) 이전의 고문 전통을

               회복할 것을 주장했다.

               '유종원' 등 뜻을 같이하는 이들을 이끌고, 당대의 '고문운동(古文運動)'을

               활발히 주도했던 인물이다.

               '한유'는 시가(詩歌) 방면에서도 창조정신을 발휘해, 신기하고 웅건한

               풍격의 독창적인 일가의 경지를 이룩했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