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거이 詩 1, 억강남(憶江南)

아라홍련 2013. 5. 27. 04:27

 

 

 

 

 

                                                    江南

                                               (강남을 생각한다)

 

                       

 

            江南好                      강남이 좋아라

            風景舊曾諳                풍경 옛날부터 기억하고 있었지

            日出江花紅勝火          해 뜨는 강의 꽃은 불꽃보다 더 붉었고

            春來江水綠如藍          봄오는 강물은 쪽빛보다 더 파랬지

            能不憶江南                 어찌 강남이 생각나지 않으리

 

 

                 二

 

            江南憶                       강남을 생각하면

            最憶是杭州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항주

            山寺月中尋桂子          산사에서 달빛 속에 계화꽃을 찾았고

            郡亭枕上看潮頭          관사 정자에 누워 조수가 몰려드는 것을

                                               보았지

            何日更重游                어느 날 다시 머물 수 있을까

 

 

                 三

 

            江南憶                       강남을 생각하면

            其次憶呉宮                 그 다음으로 오나라 궁궐이 생각나네

            呉酒一杯春竹葉          오나라 술 한 잔은 봄 댓잎 색

            呉娃雙舞醉芙蓉          오나라 미녀들의 춤은 취한 연꽃

            早晩復相逢                 또 언젠가 다시 만나리

 

 

                                                                         ~* 백거이(白居易) *~

 

 

 

 

                              

 

 

 

                 *  백거이(白居易, 772~846)

 

                     唐나라의 大詩人.  

                     자는 낙천(樂天), 호(號)는 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그러나 더 익숙한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술... 하면, 결코 빠질 수 없는 인물이 바로 '백거이'이다.

                     술에 있어서 詩仙 이백, 詩聖 두보와 견주어도 결코 빠지지 않는다. 

                     얼마나 술을 좋아했는지 '취음선생'이란 號까지 사용했다. 

                     그가 남긴 2,900여 수의 詩 중에서 음주시(飮酒詩)가 무려 800여 수나 된다.

                     이백, 두보, 이청조, 백거이가 대작을 한다면 과연 누가 끝까지 남고,

                     누가 가장 술이 셀 지 궁금하다. 

                     백거이에게는 친구가 셋 있었다.

                     바로 , 거문고이다.

                     그가 쓴 북창삼우(北窓三友)라는 詩를 한번 살펴보자.  

                   

                                 오늘 북창 아래에서(今日北窓下),

                                 무엇 하느냐고 스스로 묻네(自問何所爲).

                                 기쁘게도 세 친구를 얻었는데(欣然得三友),

                                 세 친구는 누구인가(三友者爲誰)

                                 거문고를 뜯다가 술을 마시고(琴罷輒擧酒),

                                 술을 마시다 문득 시를 읊으며(酒罷輒吟詩).

                                 세 친구가 번갈아 이어받으니(三友遞相引),

                                 돌고 돎이 끝이 없구나(循環無已時).

           

                     만년에 낙양의 용문 향산사에 은거하여 참선에 열중할 때는, 이런 명언도

                     남겼다. 

                     

                                첫째는, 참선만 한 것이 없고,

                                둘째는, 술에 취하는 것만한 것이 없다 

 
                     그가 활약했던 시기는, 唐代를 초, 성, 중, 만, 이렇게 네 시기로 구분하면
                     중당(中唐) 시기에 속한다.
                     이때, 우리나라는 통일 신라시대 중기쯤 해당된다.
                     신라의 상인들이 그의 詩를 고가로 구입해 갔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백거이'는 신라 때부터 우리나라에서 명성을 떨쳤다.
 
                     '백거이'는 어려서부터 영특함이 나타나 5, 6세 때부터 詩를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젊어서는 유랑생활을 하며 여러 곳을 떠돌았다.
                     이때 삶에 지친 백성들의 처지를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은 뒤, 백성을 위해

                     일하겠다는 결심을 하곤 유랑생활을 끝내게 된다.  

                     백거이는 800년, 29세 때 당나라 최연소로 진사에 급제했다.
                     이어서 서판발췌과(書判拔萃科)와 재식겸무명어체용과(才識兼茂明於體用科)에 
                     연속으로 합격했다.
                     그 재능을 인정받아 807년, 36세로 한림학(翰林學士)와 좌습유(左拾遺) 등의
                     좋은 직위에 올랐다.
                     815년엔 직언을 하다가 왕과 조정의 분노를 사서 한때 강주사마(江州司馬)로

                     좌천됐다.

                     그러나 820년 헌종이 승하하고 목종이 즉위하자 다시 중앙으로 복귀했다.
                     822년엔 항저우자사(史)와 쑤저우자사(史)를 역임했다.
                     "하늘에 천국이 있다면, 땅에는 항주와 소주가 있다."고 할 정도로 아름다운 곳...
                     위의 詩 '강남을 생각한다.'는 바로 항주와 소주에서 자사(刺史)로 있을 때 접한

                     지상낙원을 그리워하며 쓴 시이다.

                     백거이는 842년, 형부상서(刑部尙書)를 끝으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백거이는 명리(名利)에 대한 욕심없이 담백한 삶을 살았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한림학사 시절의 동기 5명은 모두 재상을 지냈다.
                     그러나 백거이는 스스로를 '어옹(漁翁)'이라 칭하며 만족해했다.
                     그가 당시로서는 장수인 75세까지 살았던 것도 이런 유유자적한 성품과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백거이는 인간관계가 좋아 훌륭한 친구를 많이 사귄 것으로 유명하다.
                     원진(元稹)과 유우석(劉禹錫)과의 사이에 오간 글을 모은 <원백창화집>
                     <유백창화집>은 중당시대의 문단을 화려하게 장식한 우정의 결실이라고
                     일컬어진다. 
                     위의 '원진'은, 전에 블로그 글에서 언급했던 '설도'의 10년 연하 애인이자
                     비련의 주인공 바로 그 인물이다.
                     '설도' 또한 '백거이'와 교분이 있었다.
                     결국 원진... 설도... 백거이... 이 세 사람은 당시 당나라의 문단을 화려하게
                     수놓으며 명성을 떨쳤던 동시대 인물들이다.
                     설도는 원진, 백거이, 유우석, 두목은 물론, 당대 문단을 주도하던 문사들과

                     폭넓게 교유했던 당대 최고의 여류시인이다.   

 
                      나는 다시 외국여행을 시작하면 제일 먼저 항주(州)와 소주(州)를
                      가볼 생각이다.
                      작가에게 많은 영감을 주는 곳...
                      하늘에 천당이 있다면, 땅에는 항주와 소주가 있다고 중국이 자랑하는 곳...
                      이청조(李淸照)가 유랑생활을 하며 떠돌던 곳...
                      남송(南宋)의 아름답고 화려한 문화가 꽃피었던 곳...
                      꼭 그곳에 한 번 가보고 싶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