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취화음(醉花陰) 추가 설명

아라홍련 2013. 5. 27. 04:24

 

  *  이청조 詩 7에 나왔던 취화음(醉花陰)에 대한 보충 설명

 

 

 

 

 

 

                                   醉花陰                                      

                                                          (꽃 그늘에 취해)

             

       薄霧濃雲愁永晝            안개 옅어지고 구름 짙어지면 근심에 긴 낮

       瑞腦消金獣                용뇌향도 쇠 향로에서 사라지고

       佳節又重陽                    계절은 좋아 다시 중양절인데

       玉枕紗廚                        옥베게에 명주 장막

       半夜涼初透                    한밤 찬기운이 처음으로 사무치

       東籬把酒黄昏後            동쪽 울타리에서 술 마시다 황혼이 지나니

       有暗香盈袖                    은근한 향기 소매에 차네

       莫道不消魂                    정신 아득하지 않다 말하지 마라

       簾捲西風                        주렴을 걷으면 서풍 불어

       人比黄花痩                   사람이 노란 국화꽃처럼 여위네

 

                                                          ~* 이청조(李淸照) *~

 

 

      *  지난 번 블로그에 올린 이청조의 詩 7, 취화음(醉花陰)에서는 이 詩에 나오는

           중양절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의미와 아름다운 풍속을 살펴보았다.

           오늘은 취화음이 어떻게 쓰여졌는지 한 번 알아보자.        

           이 詩는 수옥(漱玉) 이청조가 사랑하는 남편 '조명성'이 타지로 보직을 받아

           함께 생활하지 못하고 서로 떨어져 지낼 때 지은 詩이다.

           동쪽 울타리 옆에서 황혼녘까지 혼자 술을 마시다 들어와 쓸쓸히 홀로 규방에

           앉아있다가 남편 '조명성'을 그리워하며 쓴 詩로 알려져 있다.

           남편이 그리운 수옥(漱玉) 은 이 詩를 쓴 다음, 인편에 남편에게 보냈다.

           아내가 쓴 詩 취화음을 받아 본 '조명성'은 이 시를 읽은 뒤, 자신의 재능이 

           '이청조'보다 못한 것을 깨닫고 이를 한탄하며, 3일 동안이나 문을 닫아걸고 

           '취화음'이란 제목의 詩를 무려 50수나 썼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명성'은 아내인 '이청조'가 쓴 詩와 자신이 쓴 50수를 함께 동봉해 친구에게

           보내며, 솔직한 평가를 부탁했다.

           두 사람의 詩를 읽은 친구는 '이청조'의 손을 들어주며, 그녀의 詩 중에서 특히

           다음의 '세 구절이 절등(絶等)하다'고 평했다.

 

                                  정신 아득하다 말하지 마라

                                  주렴을 걷으면 서풍이 불어

                                  사람이 노란 국화꽃처럼 여위네   

           

           여성의 권리와 자유를 탄압하던 宋代에 '조명성'이 아내를 극진히 사랑하고 존경한

           것은, 수옥의 아름다운 미모와 함께 명석한 두뇌, 탁월한 詩想, 뛰어난 표현력 등

           재색을 겸비한 특출한 여인 임을 인정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청조의 거의 모든 詩와 초상화 등에서 술과 관련된 단어나 이미지가 나오는 것을

           볼 때, 중국의 여류시인 중에서 '가장 술을 사랑한 詩人'이란 평가가 결코 무색하지

           않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