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늘의 명상(暝想)

아라홍련 2013. 5. 21. 03:11

 

 

 

 

 

                                              眞倧皇帝勸學文               

                                              (진종황제 권학문)

 

         富家不用買良田          집을 부유하게 하려고 좋은 밭 사지마라

             書中自有千種粟          책 속에 저절로 천 섬 조가 들어있다

         安居不用架高堂          좋은 거처 생각하고 높은 집 사지마라

         書中自有黃金屋          책 속에 저절로 황금집이 들어있다

         出門莫恨無人隨          문을 나서는데 따르는 사람 없다 한탄하지마라

             書中車馬多如簇          책 속에 수레와 말이 무더기로 들어있다

         取妻莫恨無良媒          장가가려는데 좋은 중매 없다 한하지 마라

             書中有女顔如玉          책 속에 얼굴이 옥 같은 여자 들어있다

         男兒欲逐平生志          남자가 평생의 의지를 추구하려면

              六經勤向窓前讀          육경을 들고 창가에 앉아 부지런히 읽어라

 

                                                                ~* 진종(眞宗) *

 

         진종(968~1022)

           

               송나라의 3대 황제.

               960년, 무신 '조광윤'이 후주(後周)의 마지막 황제로부터 선양받아 송나라를

               건국했다.

               초대 황제(태조)인 '조광윤'의 뒤를 이어,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왕위를

               이어받아 2대 황제 태종이 됐다. 

               태종은 중국 통일을 이루고, 과거제도의 기틀을 다진 임금이다.

               과거제도는 태종의 아들인 3대 황제 진종(眞宗) 시대에 이르러서 완성됐다.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시험이라는 방법을 채용한 나라로 꼽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는 당나라가 무신들의 반란이 잦아 국운이 다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과거제도를 통해 문신들을 많이 발탁했다.  

            우수한 인재들이 문신으로 관직에 많이 진출했지만, 훗날 지나치게 문관을

               우대하고 무관을 홀대해, 결국 군사력의 쇠퇴를 불러일으켜 국운을 기울게

               하는 한 원인이 됐다.   

              

               1004년, 거란족(契丹族)이 세운 요(遼)나라를 전성기로 이끌었던 遼 성종이

               대군을 이끌고 송나라를 침략하자, 진종은 요나라에 연운 16주를 넘겨주고

               수십 년 전쟁을 끝냈다. 

               요나라에 매년 하사품을 내리는 형식으로 평화협정인 단연지맹(傘淵之盟)을

               맺은 것이다.

               요나라는 북방민족들을 제압하고 장악하는 것에 주로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쟁을 원치 않아, 송나라의 평화정책에 응했다.

               때문에 진종代에는 전쟁을 겪지 않고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었다.  

               위의 詩에서 육경(六經)이란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기(禮記), 역경(易經),

               춘추(春秋), 악경(樂經)을 뜻한다.    

 

               위의 '권학문'은 송나라의 3대 황제인 진종(眞宗)이 선비들의 공부를 격려차 

               지은 詩이다. 

               황제의 가르침을 보면, 책 속에는 인간에게 필요한 세상 모든 것들이 존재한다.

               한데 마치 보물찾기처럼 찾을 수 있는 사람, 볼 줄 아는 사람만 찾을 수 있는

               신묘한 보물이다.

               나이 먹을수록, 연륜이 깊을수록, 좋은 책과 좋은 글을 더 까이 해야 이유는

               인생을 제대로 살기 위함이다. 

               세상이 지금처럼 살벌하고 무도해진 것은, 사람들이 좋은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 것과 상관이 있다.

               재주는 있되, 생각이 깊지 못하고 언행이 가벼운 경박재자(輕薄才子)들이 

               관심을 받고 대세를 이루고 있어 독자들에게 감상적인 위로만 줄뿐, 인생의

               나침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말초적 쾌감과 통속, 복수, 음모, 증오, 막장, 수박 겉핥기식 자기계발서, 엉터리

               멘토를 지향하는 책과 영상들이 대세를 이루는 것은 작금의 혼탁한 세상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경박하고 누천한 감정과 충동적인 생각, 공격성, 쾌락추구, 가벼운 기교들이 

               전염병처럼 인간을 물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뇌화부동한 사람들은 좋은 책을 알아보지 못하고, 감동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가볍고, 잔학하며, 감상적이고, 성숙하지 못한 생각을 담아 말초를 자극해

               순간적인 쾌감과 위로를 주는 책과 영상물만 찾고 있다.

               좋은 책을 찾아서 읽는 훈련을 어려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이유이다.

               책을 통해서 감상적인 위로만 받을 수 있다면, 이는 결코 좋은 책이 아니다.

               책을 통해 세상을 바라볼 줄 아는 안목을 키우고, 자신의 정체성(identity)을

               깨닫는 계기가 되야 좋은 책이다.

               또 행동수정을 할 수 있고, 선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어야만 한다.

               무엇보다 자신의 '삶의 주제(主題)'를 찾아낼 수 있는 계기가 될 때, 진정한

               의미의 좋은 책이나 글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이는 책이나 글에서 감흥과 감동을 모두 느낄 수 있을 때 보상처럼 주어지는

               귀한 선물이다.

                          

               송대(宋代)에는 황제로부터 대신과 문사에 이르기까지 권학문(勸學文)이나

               권학가(勸學歌)를 많이 썼다.   

               송나라의 시인이자 문필가이며,1069~1076년에 신법(新法)이라는 혁신정책을

               단행한 것으로 유명한 안석(王安石)은 권학문에서 이렇게 소신을 밝혔다.

 

                독서에는 비용이 들지 않으며, 글공부를 하면 만 배의 이익이 생긴다.

                    창문 아래서 옛 책을 읽고, 등불 아래서 책의 뜻을 찾으라.

                    가난한 자는 책으로 부유해지고, 부자는 책으로 귀해진다.

        

            부자(富者)는 책으로 귀해진다...

               돈 많은 자가 천박하게 살지 않고 존경받는 귀한 몸이 되려면, 좋은 책을  많이

               읽어야만 한다.

               반면에, 아쉬움이 있는 자는 책을 많이 읽으면 상대적인 박탈감이 적고 마음이

               부유해져, 세상을 향한 분노의 삿대질 대신 자족과 진정한 자유를 느낄 수 있다.  

            송나라는 한결같이 부귀와 공명, 이록(利祿)을 공부와 결합시켜, 책 읽고 공부하는

               풍조를 고양시켰다. 

               송나라 때 걸출한 인재와 명재상, 걸작을 남긴 많은 詩人과 학자들이 탄생한 건 

               바로 이런 국가적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