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청조의 사패 6, 청평락(淸平樂)

아라홍련 2013. 5. 17. 03:21

 

 

 

 

                                                      <이청조(李淸照)의 초상화>

 

 

 

                                                           淸平樂 (청평락)

 

 

            年年雪裏                   매년 눈 속에

            常插梅花醉                늘 매화를 꽂고 향에 취했지

            挼盡梅花無好意         손으로 만지니 매화야 좋을 리 없었겠지

            贏得滿衣淸涙            다만 옷에 푸른 눈물만 가득 얻었지

  

            今年海角天涯            금년 바다 끝 먼 변방

            蕭蕭兩鬢生華            쓸쓸히 양쪽 귀밑에 흰머리 나고

            看取晩來風勢            저녁 늦게 바람 부는 것을 보니

            故應難看梅花            매화 보러 가는 것이 어려울 것 같네

 

                                                             ~* 이청조(李淸照) *~

 

 

       * 이 詩는 수옥 이청조가 재혼한 '장여주'와 이혼한 후, 항주(杭州)로 갔을 때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詩에서 '바다 모서리 하늘 끝(바다 끝 먼 변방)'이란 표현을 했기 때문이다.

             항주(杭州)는 지금 상해의 근처이다. 

             산천이 수려하고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이다.

             만력 <항주부지> 권 18, '형승'을 보면, 항주의 인구는 이미 남송(南宋) 덕우

             원년(1275년)에 100만을 넘어선 것으로 기록돼 있다.

             南宋代에는 조정에서 주택 증축비를 부담해 아름다운 이층의 저택을 짓도록

             장려했다.  

             또 600명을 태울 수 있는 정크선이 출현해 무역이 발달하고,  동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까지 항해가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중국에는 무역선이 싣고 온 사치스러운 고가품이 활발히 거래됐다.

             벵갈에서는 물소뼈가, 인도와 아프리카에서는 상아, 산호, 진주, 수정, 향료, 장뇌

             등이 수입됐다.

             이로 인해 무역선을 타고 들어온 외국인을 위한 숙소와 다관(茶館), 고급 주루

             (酒樓)가 많이 만들어졌다.

             주루는 화려한 색채로 장식됐고, 금색의 등이나 꽃, 분재, 우아한 의자 등으로

             치장됐다. 

             회랑에는 화려한 옷으로 치장한 기녀들이 외국인들에게 술을 권했다.

             중국 그림에 많이 나오는 그 모습 그대로이다.

             또 성벽 밖의 호안(護岸)과 남쪽 교외에는 공원이나 정원을 지어 거류민들이

             자유롭게 출입하게 했다.

             축제일에는 진귀한 꽃이나 수목을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天有天堂 地有蘇杭, "하늘에 천당이 있으면, 땅에는 소주

             소주(蘇州)와 항주(杭州)가 있다"고 자랑을 한다.  

             ... 그만큼 산천이 수려한 곳이 바로 항주이다.

             수옥 이청조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일체 끊고, 남방인 강남 항주 등에서 오랫동안

             유랑생활을 하며 주옥(珠玉) 같은 詩들을 많이 남겼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