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張氏隱居 二首
(장씨 은거지에서 씀)
一
春山無伴獨相求 봄 산 동행도 없이 홀로 찾노라니
伐木丁丁山更幽 나무하는 소리 쩡쩡하더니 산은 다시 그윽한데
澗道餘寒歷冰雪 계곡 길 남아있는 찬 기운 얼음과 눈을 지나
石門斜日到林丘 돌문에 저녁 해 비칠때쯤 숲 언덕에 도달했네不貪夜識金銀氣 탐욕이 아니면 밤에도 금과 은의 기운을 알고
遠害朝看麋鹿遊 해칠 마음 멀리하면 아침에 노루와 사슴이
노니는 것을 볼 수 있네
乘興杳然迷出處 흥에 젖어 묘연하니 나갈 곳을 모르겠고對君疑是泛虛舟 그대와 마주하니 빈 배를 띄운 것인가 의심되네
二
之子時相見 그대 때때로 보면
邀人晚興留 사람을 맞아 늦도록 흥이 머물도록 하네霽潭鱣發發 연못에 안개 개이니 잉어가 뛰고
春草鹿呦呦 봄 풀에 사슴이 우우 우네杜酒偏勞勸 두주를 힘껏 권하며
張梨不外求 좋은 배 밖에서 구하지 마소
前村山路險 앞 마을 산길이 험해도
歸醉每無愁 돌아올 때 취하여 매번 수심이 없어라.
~* 두보(杜甫) *~
* 위의 詩에서 허주(虛舟)는 빈 배를 뜻한다.
장자(莊子)의 산목(山木) 편에 나오는 고사이다.
다른 배가 자기 배에 다가와 부딪치려 하면 화를 내지만,
빈 배가 다가오면 화를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方舟而濟於河 有虛船來觸舟 雖有惼心之人不怒
(배로 강을 건너려 할때, 빈배가 다가와 부딪치려 하면
비록 편협한 사람이라도 화를 내지 않는다.)
有一人在其上 則呼張歙之
(한 사람이 그 위에 있으면 즉시 그를 부르고,)
一呼而不聞 再呼而不聞 於是三呼邪 則必以惡聲隨之
(한번 불러 못들으면 다시 부르고, 또 못듣는 경우 세번째 부를 때는
반드시 나쁜 소리가 나오게 되어 있다.)
向也不怒而今也怒 向也虛而今也實
(화를 내지 않다가 지금은 화를 낸다.
빈배를 향하다가 지금은 실제인 것이다.)
人能虛己以游世 其孰能害之
(사람이 능히 자신을 비우고 세상을 떠 돌면,
그 누가 능히 그를 해칠 수 있으리오.)
<장자(莊子)>
왜 고전(古典)을 읽어야 하는가?
왜 고대의 좋은 글과 詩들을 매일 한 장, 한 수(首)라도 읽어야 하는가?
고전에 속하는 글과 詩 속에는 인생살이의 참된 교훈이 녹아있기 때문이다.
이런 글들은, 읽는 이들이 깨달음을 통해 높은 영적 발전에 이르도록 인도한다.
말 그대로, 힐링(Healing)의 역할을 충실히 한다.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神들의 세계와 가까웠던 시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세(末世)에 접어든 현대에서는 이런 글들을 접하기 힘들다.
주로 감성의 기교와 말장난을 더 선호하는 세상이다.
이런 글을 쓰는 이들의 잘못도 크지만, 읽는 이들의 책임 또한 크다.
그런 글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천 년 전, 이천 년 전의 詩人이나 학자들은 삶에 대한 통찰력이 날카롭고
영적으로 매우 높은 단계에 있던 사람들이다.
학자와 관리, 시인의 구분없이 모두 수준 높은 詩나 글을 남겼다.
그래서 수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읽는 이들에게 풍류를 그대로
느끼게 해주고, 혜훈(慧訓)과 감동까지 안겨주고 있다.
하루에 단 한번 만이라도 고전(古典)을 읽거나 접하라!
이렇게 오랜 세월동안 습관을 들이면, 훗날 당신은 분명 다른 이들과는
다르게 생각하고, 그들과 다른 삶을 살아갈 것이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