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두보 詩 3, 곡강(曲江) 3

아라홍련 2013. 4. 14. 22:41

 

 

 

 

                                        曲江(곡강) 3

 

 

                 曲江蕭條秋氣高       곡강에 가을바람 쓸쓸하게 불고

                 菱荷枯折隨風濤      마름 연꽃 시들어 물결따라 흘러가네. 

                 遊子空嗟垂二毛      떠돌이신세 하염없이 백발을 한탄할새  

                 白石素沙亦相蕩      물가의 흰모래와 돌 그 또한 술렁이고 

                 哀鴻獨叫求其曹      짝을 찾는 외기러기 서글피 울고가네.

 

                                                                    ~* 두보(杜甫) *~

 

 

            두보의 곡강(曲江) 사랑은 대단했다.

                    두보는 약 1년 간 곡강 주변에 살면서, 술에 만취해 곡강 연작시 4수와 

                    여러 시들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옛 한나라의 황실 유원지였던 곡강은 중국의 근대화 물결에 의해 예전의

                    풍치를 잃기 전까지는, 수많은 왕조와 백성으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던 중국 최고의 명승지였다.

                    곡강(曲江)은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서안의 河水가 구불구불 흘러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곡강을 대당부용원(大唐芙蓉園)이라고 부른다.

                    곡강과 관련해 중국에는 역사적으로 많은 중요한 기록들이 보인다.  

                    구당서(舊唐書) 권13. 덕종기(德宗紀)에 따르면, 당나라 때에는 봄에 그 해의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선비들을 곡강의 정자에 모아놓고 황제가 큰 잔치를

                    베풀었다고 기록돼 있다.

                    때문에 이 행사를 곡강정(曲江亭), 또는 곡강회(曲江會)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곡강원(曲江苑)... 하면, 과거에 함께 급제했음을 의미한다. 

                    또 성도(成都) 사람들이 명절 때마다 곡강에 찾아와 노닐던 국민 관광지였다.

                    수(隋)나라 때부터는 곡강(曲江)을 부용원(芙蓉園)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위의  곡강 3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5구(句)로 만들어진 詩이다.

                    두보가 정치적으로 방황하던 시절에 본 곡강의 서글픈 가을 풍경을 처연한

                    마음으로 풀어낸 詩이다.  

                    위의 詩에서 유자(遊子)란 '방랑자'란 뜻이며, 두보 자신을 뜻한다.

                    자신을 알아 줄 사람을 찾는 마음도 보이고, 외기러기처럼 '슬프게 홀로 가는

                    새'의 외로움도 엿보인다. 

                    수이모(垂二毛)는 흑백머리를 늘어트림을 말하며, 백석소사(白石素沙)는

                    가을 강가의 흰돌과 흰 모래를 뜻한다.

                    또 역상탕(亦相蕩)은 '연꽃과 같이 술렁인다"는 뜻이며, 애홍독규(哀鴻獨叫)는

                    '슬픈 기러기가 홀로 운다'는 뜻이다.

 

                    이백 두보는 두 사람의 바람과 달리, 정치적으로 매우 불운했던 인물이다.

                    때문에 현실적인 어려움을 술로 풀었고, 이로 인해 천재적인 시상(詩想)이

                    발현돼 중국 최고의 걸작시들을 남겼다.

                    '이백'은 당 황제인 현종 앞에서도 "신은 한 말의 술로 시 백편을 쓰고, 취한

                    뒤엔 시흥(詩興)이 샘물과 같다."고 술을 요청할 정도였다.

                    주광(酒狂)인 두보는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았을 것이다.   

                    결국 이들의 詩는, 현실이 따라주지 않는 심리적 고통과 슬픔이 예술의 보석들로

                    탄생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만일, 두보이백이 정치적으로 성공해 고위관리가 됐다면 후세인들은 결코 

                    이들의 걸작시를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진정한 예술은 등 따스고, 배부른 자들에게서는 나오기 힘들다.

                    동서고금의 뛰어난 예술인들의 삶이 하나같이 고통스러웠던 이유이다.

                    만일 작가가 정치에 대한 탐욕으로 본직에 충실하지 못하던지, 돈에 지나치게

                    욕심이 많던지, 또는 자신의 능력보다 훨씬 과장된 명리에 집착하고 있다면, 

                    그를 과연 진정한 의미에서의 예술가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이다.

 

                    神은 인간에게 결코 두 가지, 세 가지의 재능을 함께 주시지 않는다.

                    특히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 힘들게 살고 있는 사람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소명을 가지고 태어난 예술가들에게는 특히 그렇다.

                    이를 근본적으로 인지하지 못한 채, 오직 일신상의 명리와 끊임없는 욕망의

                    늪 속에서 허우적거리며 살고 있다면, 엄밀한 의미에서는 진정한 예술가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자신이 예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덧없는 명성에만 목을 매지 말고

                    평생을 구도자의 마음으로 생각하고, 끊임없이 공부하며 글을 써야 한다. 

                    그때 비로소 사람들은 명성과 상관없이 좋은 예술가로 인정해주고, 세상은

                    그를 진정 훌륭한 예술가로 기억할 것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