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유감(有感)

아라홍련 2013. 3. 31. 02:53

 

 

                                                        유감(有感)

 

 

                   非詩能窮人      시가 사람을 가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窮者詩乃工      궁색한 사람의 시가 공교한 것이지

               我道異今世       나의 뜻 지금 세상과 다르니

               苦意搜鴻濛       괴로운 마음 홍몽을 더듬는다

               氷雪砭肌骨       얼음과 눈이 살가죽과 뼈를 찔러도

               歡然心自融       다가오는 기쁨은 마음을 저절로 녹인다

               始信古人語       비로소 옛사람의 말을 믿겠네

               秀句在羈窮       좋은 시 구절 고단한 가난 속에 있다는 것을

               和平麗白日       화평할 때면 밝은 태양 곱게 보이고

               慘刻生悲風       참혹할 때는 슬픈 바람 생기지

               觸目情自動       눈에 닿으면 정은 스스로 생기는 것이니

               庶以求厥中       많은 것 중에서 그 중도를 구해야지

               厥中難造次       중도는 갑자기 만들 수 없으니

               君子當用功       군자 당연히 공부를 사용해야 하네

 

                                                                         ~* 이색(李穡) *

 

                  * 이색(1328 1396)

 

                       고려 말의 충신이자 성리학자

                       호는 목은(牧隱)이다.

                       원나라 전시에 급제하여 원나라 국사원편수관을 역임한 뒤,

                       고려로 돌아와서는 대사성 등을 역임했다.

                       이성계의 조선 개국에 끝까지 참여하지 않은 고려의 진정한

                       충신이다.

                       詩 중 홍몽(鴻濛)이란, 천지가 나누어지지 않은 혼돈상태나

                       또는 천지의 기운을 말한다.  

                       '수구재기궁'은 소동파의 시 '詩句' '詩人例窮蹇 秀句出寒餓'에서

                       나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