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세공 기술이 얼마나 섬세하고 아름다운지 잘 살펴보세요.
까마득한 그 오랜 세월 전, 어떻게 저런 섬세한 세공기술이 있었는지,
또 어떤 모양을 형상화했는지 자세히 잘 살펴보아요.
<무령왕릉 관식(冠飾)>
* 관식이란, 왕이나 왕비가 쓴 관(冠)을 꾸미거나 치장하는데 쓰는 장식물을 말한다.
<진파리 7호분 관식(冠飾)>
<경주 계림로 금제 감장보검(金製嵌裝寶劍)>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지구(味鄒王陵地區) 계림로 14호분에서 출토된 신라 5~6세기의
칼이다. 삼국시대 이전의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보검이다.
보물 제 635호. 길이 36cm, 최대 너비 9,3cm.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삼국시대의 일반적인 도검(刀劍)과는 그 양식이 전혀 다른 특수한 형태의 것이다.
현재 칼집의 장식만 남아있다.
칼자루 끝부분은 골무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가운데에 둥근 홍색 마노(瑪瑙)를 박아넣었다.
둘레에 S자를 연결한 무늬를 금으로 두르고 그 여백은 홍색 마노를 장식하였으며 가장자리에
누금장식(鏤金裝飾)을 하였다.
누금(鏤金)이란, 금속에 어떤 무늬를 아로새겨 넣는 것을 말한다.
자루와 검신(劍身) 부분에는 홍색 마노를 늘어놓고 그 주위를 금입(金粒)으로 촘촘히 감쌌다.
칼집 맨 위의 납작한 장식판에는 직사각형의 구간을 마련하고 3개의 원에 태극무늬 같은 둥근
파형문(巴形文)을 넣었고, 그 파형문 속에 작은 원형장식을 했다.
원의 공간에도 역시 홍색 마노를 박아넣었다. 칼집 끝 부분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3개의 구획을 짓고 홍색 마노를 박아넣었으며, 가장자리는 S자형 무늬를 둘렀다.
그리고 오른쪽 한 부분에는 골무 모양을 한 반원형의 장식판이 붙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와 문양은 서방검(西方劍) 형식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경주 계림로에서 발굴된 보검(寶劒)은 신라와 서역지방과의 문물교류를 증명하는
귀
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