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함녕전 후원의 금석문(金石文)

아라홍련 2013. 3. 22. 22:44

 

이런 게 바로 진정한 친일이다... 

 

 

 

 

      甘雨初來霑萬人    단비 처음 내리니 만인을 적시네 : 伊藤博文
     咸寧殿上霑華新    함녕전 위에도 적시니 화창히 새로워라 : 森大來
     扶桑槿域何論態    부상과 근역이 어찌 다른 모양을 논하리오 :  曾彌黃助
     兩地一家天下春    두 곳이 한 집 되면 천하가 봄 인 것을...  李完用

 

 

 

         * 1909년, 이토 히로부미의 전별식(餞別式)에서 작성된 연시(聯詩).

              첫 구는 '이토 히로부미'가, 둘째 연은 '모리 오오라이' 궁내대신이, 

              세번 째 연은 '소네 아라스케' 부통감이,

              그리고 마지막의 싯구는 "두 나라가 한 나라가 된다면, 천하에 봄이 온다."

              뜻의 이완용이 쓴 기가 찬 내용이다.

              이런 게 바로 진정한 친일이다.

              왜 그가 친일파로 더러운 이름을 역사에 남겼는지 증명이 되는 부분이다.

  

 

 <목숨을 버리며 항거한 의병 사진들...>

 

영국 Daily Mail지의 기자 Frederick Arthur McKenzie가 1907년 제천을 지나 원주지역에서 만난 의병들

 

 

1907년 영국 Daily Mail 기자 Frederick Arthur McKenzie가 제천에서 원주로 넘어가면서 만난 의병들

 

 

<의병을 토벌하기 위해 출동하는 일본군들>

 

                                      <의병 토별에 동원된 일본군, 1907년>

 

 

                                                 <의병 토벌대 일본군, 1907년>

 

 

                                          <의병대 토벌에 동원된 일본군, 1907년

 

 

 

                                    

 

 

           ... 그리고 한말삼재(韓末三才)로 불리는 매천 황현1910년 56세 때, 일제에 의해

           끝내 나라가 강탈당한 소식이 전해지자 단 한 번도 국록(國祿)을 먹은 적이 없음에도,

           지식인으로서의 책임을 통감하고 절명시(絶命詩) 네 수와 유서를 남긴 채, 자결로

           고귀한 생을 마감했다.

           애국(愛國)과 친일(親日)의 차이는 바로 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