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간행(長刊行)
妾發初覆額 제 앞머리가 이마를 덮을 정도로 자랐을 때,
折花門前劇 꽃을 꺾어 대문 앞에서 놀았지요.
郎騎竹馬來 임은 죽마 타고와
繞床弄靑梅 우물 난간 맴돌면서 푸른 매화를 희롱했었죠.
同居長干里 우리는 장천리에 같이 살면서
兩小無嫌猜 두 어린것 천진난만했었지요.
十四爲君婦 열네 살에 임의 아내되어
羞顔未嘗開 부끄러워 얼굴 한번 들지 못했지요.
低頭向暗壁 고개 숙여 어두운 벽만 향하고,
千喚不一回 천 번을 불러도 한 번도 돌아보지 않으셨죠.
十五始展眉 열 다섯이 되어 비로소 얼굴 들고
愿同塵與灰 티끌 되고 재가 되도록 함께 하기를 원했었죠.
常存抱柱信 항상 굳은 약속 믿었는데
豈上望夫台 어찌 망부대에 오를 줄이야.
十六君遠行 열여섯 살이 되어 임은 멀리 떠나
瞿塘灩預堆 구당과 염초에 가셨죠.
五月不可觸 오월엔 암초에 걸리지 않아야 하리.
猿鳴天上哀 원숭이 울음소리 하늘 위로 구슬프다.
門前遲行跡 임의 대문 앞, 사람의 출입은 적고
一一生綠苔 날마다 푸른 이끼만 자라요.
苔深不能掃 이끼가 짙어져도 다 걷어내지 못하고,
落葉秋風早 가을바람은 일찍 불어 낙엽은 우수수
八月蝴蝶來 팔월에 호랑나비 날아와
雙飛西園草 서쪽들을 쌍쌍히 날아요.
感此傷妾心 이 정경에 감상에 젖어 저의 마음 아파요.
坐愁紅顔老 근심에 겨워 고운 얼굴 늙어간다오.
早晩下三巴 조만간 삼파에서 돌아오시면
預將書報家 미리 편지로 알려주세요.
相迎不道遠 마중 가는 길 멀지도 않아요.
直至長風沙 곧 바로 장풍사로 달려가겠어요.
~* 이백(李白) *~
* 시성(詩聖)으로 불리우는 두보(杜甫)는 "春日憶李白(봄날, 이백을 생각하다)"에서
시선(詩仙) 이태백을 이렇게 평가했다.
白也詩無敵 이백의 시는 적수가 없고,
飄然思不群 표연하여 그 생각이 특출하다.
淸新庾開府 참신성은 유개부와 같고,
俊逸鮑參軍 기상이 뛰어남은 참군 포조와 같다.
渭北春天樹 위수 북쪽은 봄 하늘의 나무가 무성하고
江東日暮雲 강동은 저문 하늘에 구름이 떠 있다.
何時一樽酒 언제나 한 동이 술로
重與細論文 다시 그대와 글을 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