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Rainbow).대기 중에 떠있는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반원형으로 나타나는 일곱 색깔의
띠. 주로 비가 온 뒤 해의 반대편에서 나타난다. 분홍(雰虹), 채홍(彩虹)이라고도 부르며,
조선시대에는 홍예(虹霓)라고 불렀다. 궁궐엔 홍예문이 많다.>
<안개무지개(Fogbow). 일반무지개는 대기중 물방울과 태양빛이 만나 생성되지만, 안개무지개는
빛과 반응하는 물방울이 일반 무지개보다 입자가 더 작다.>
<달무지개. 우리말로는 월홍(月虹)이라 부른다. 밤에 뜨는 무지개는 폭포의 미세한 수증기 방울들이 달빛 을 반사할 때 생긴다. 달(Moon)과 무지개(Rainbow)를 합성한 단어인 ‘문보우(Moonbow)’로 불리운다.
무지개는 태양광선과 관찰자를 잇는 각도가 물의 전반사 임계각(42도)이 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무지개가 둥근 이유는 그 전반사 임계각이 되는 범위가 둥근 원이 되기 때문이다. 달빛도 대기중의 물방울과 만나 전반사의 임계각을 만들어내면 무지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달무지개(Moonbow)라고 한다.>
<빅토리아 폭포에 뜬 아름다운 달무지개. 만월이나 만월 가까울 때만 볼 수 있는 희귀한 현상이다.>
<잠비아와 짐바브웨 사이에 걸쳐있는 빅토리아 폭포에 뜬 달무지개. '천사들의 시선을 빼앗은
폭포'로 불리울만큼 아름다운 폭포이다. 세계 3대 폭포에 속한다.>
<신비하고 환상적인 아름다운 달무지개>
<파이어 무지개. 정식 명칭은 circumhorizontal arc로 대기 중 무지개가 마구 흩어져 흔들리는
듯한 형태를 띠고 있다. 우리말로는 수평호(水平弧) 또는 천정호(天頂弧)라고 부른다.
상공 5,000m 이상의 구름 속 얼음 결정에 태양빛이 육면체의 얇고 평평한 작은 얼음 결정체를
통과하면서 만들어진다. 마치 불꽃이 일렁이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Fire rainbows라고 부른다.
전 세계를 통틀어 보기 드문 기상현상 중 하나이다.>
<채운(彩雲). 여러 빛깔이 아롱져서 무늬가 있는 고운 구름으로 꽃구름, 채색구름으로도 불리운다.
태양 부근을 지나는 구름이 무지개처럼 적색과 청녹색이 번갈아 색을 띤 것처럼 보이는 현상으로
권층운, 권적운, 고적운 등의 부분에서 물방울에 의한 태양광선의 회절(回折)에 의하여 발생한다.
구름입자의 크기, 분포상태 등에 따라 색채가 변하며 대부분 빙정(氷晶)으로 된 구름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