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옥봉 詩, 몽혼(夢魂)

아라홍련 2014. 3. 29. 04:10

 

 

 

 

                                        夢魂

                             (꿈속의 넋)

                                                             

            近來安否問如何        근래 어떻게 지내시나요? 

            月到紗窓妾恨多        달빛이 창가에 비치면 시름 더욱 깊어져요.

            若使夢魂行有跡        길에 발자욱 남겼다면

            門前石路半成沙        그대 집 앞 돌길은 거진 모래 되었을 것을...

​                                                          ~* 이옥봉(李玉峰) *~

          * 사랑 한번 징하다.

                안타깝다 못해 아주 징하다.

                남편 '조원'에게 쫓겨난 뒤, 뚝섬에 오두막 방 하나 얻어놓고 매일 남편을 기다리는

                '옥봉'...​

                밤잠을 못 이루며 남편이 그리워 하염없이 편지를 쓰고, 詩를 쓰는 여인...

                달빛이 창호지에 비치면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실연의 고통은 절절한 신음소리를 

                낸다.

                잠이 들면 꿈속에서 늘 남편의 집을 찾아가 서성인다.

                꿈길에 얼마나 발자욱을 많이 남겼던지, 만약 꿈이 아니라면 '조원'의 집 앞 돌길은

                너무 닳고 닳아 거진 모래가 되었을 것이라고 자신의 심정을 애달프게 노래하고 있다.

                참 대단한 사랑이다.

                옥봉(玉峰)도 대단하고...​

​                조원(趙瑗) 또한 대단하다.

                그녀가 그토록 싫었던 것일까?

                아님, 옥봉의 집착이 무서웠던 것일까...

                원수지간도 아닐진대, 본처를 버리라는 것도 아닐진대, 그저 천한 소실(小室) 자리로

                돌아가고 싶을 뿐인데 저리 몰인정하게 대하다니, 인연이 아니라고 하는 것 외에는

                어떻게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  

                '옥봉'의 詩를 읽을 때마다 '조원'의 몰인정과 매정함에 은근히 부아가 치밀곤 한다.

                그러나...

                세상 이치는 알 수 없는 것!

​                옥봉은 사랑을 잃은 대신, 주옥과 같은 詩를 남겼다.

                중국에서도 '이옥봉'을 '허난설헌'과 함께 쳐준다.

                시풍(詩風)과 시격(詩格)을 그 정도로 높이 평가한다.

                만일... 

                산지기 송사 사건이 없고, 옥봉이 평생 '조원'의 소실로만 살았다면 우리는

                '옥봉'의 시경(詩境)이 높고 그윽한 아름다운 詩들을 만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녀의 고통스런 사랑의 상실과 처절했던 삶은 결국 온전히 詩로 승화됐다.​

                때문에 세상 이치는 아무도 모른다...

                인간과 이 별에 대한 비밀은 오직 신(神)만 알고 있다.           

​                겸손히, 또 열심히 살아야 하는 이유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