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 詩 3. 한적탐수(閑適耽睡)
閑適耽睡(한적탐수)
竟日臥耽睡 진종일 누워서 잠을 탐하노라
懶慢不出戶 게을러서 문 밖에도 안 나갔네
圖書抛在床 책들을 책상 위에 던져두니
券帙亂旁午 권으로 질로 흩어져 있네
瓦爐起香煙 질화로엔 향이 피어오르고
石鼎嗚茶乳 돌솥에는 차유가 끓고 있는데
不知海棠花 알지도 못하였구나, 해당화 꽃이
落盡千山雨 천산에 내린 비에 다 떨어진 줄을...
~* 김시습(金時習, 1435~1493) *~
* 김시습
생육신의 한 사람.
號는 매월당(梅月堂).
승려 시절의 법호(法號)는 설잠(雪岑)이다.
조선의 '역사철학자'로 불린다.
어려서부터 '조선의 천재', '五歲 신동', '오세(五歲)'로 불렸다.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찬탈해 조선 제7대 왕(世祖)으로
즉위하던 날, 21살의 나이로 지조의 삶을 위해 속세를 버리고 출가했다.
출가한 곳은 설악산의 오세암(五歲庵))...
그 후, 경주 남산에서 7년간 칩거하며 우리나라의 최초 소설인 <금오신화>를 썼다.
'산림처사'로도 불린다.
그의 재능을 아낀 조선 제 9대 왕 성종(成宗)이 여러 차례 상경을 명했으나,
끝까지 부름에 응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다.
1481년(성종 12년), 승복을 벗고 환속했다가 2년 후 다시 집을 떠나 방랑생활을
시작했다.
9년의 만행기간 동안, 탕유관서록(宕遊關西錄)과 탕유호남록(宕遊湖南錄),
탕유관동록(宕遊關東錄) 등을 정리했으며, 1468년에는 산거백영(山居百詠)을,
1476년에는 '산거백영 후지'를 썼다.
충남 부여의 무량사에서 생을 마쳤다.
학문과 기개가 높고 절개가 곧은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아 1782년(정조 6년), 이조판서로
추증됐다.
김시습은 승려이면서도 유교이념을 바탕으로 한 유불선(儒佛仙)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 조선의 계급체제와 지배 이념, 불교의 기복화와 정치권력화에 대해 줄곧 비판적인
견해를 유지했다.
매우 현실주의적 사상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소 도연명(陶淵明)을 좋아한 '김시습'은 특히 자연에 깊은 의미를 부여했다.
그의 詩는 속세를 떠난 자신의 삶처럼, 자연의 공간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은자(隱者)의 삶을 택했었기에 행위적 특성으로 '한적(閑適)'의 상징성을 잘 보여주는
'낮잠'의 모티브가 자주 나온다.
이 두 속성이 맞물려 김시습의 詩엔 자연의 소리인 새소리, 물소리, 솔바람소리,
낙엽소리, 빗소리 등의 자연의 소리에 의해 잠을 깨는 '파몽의 모티브'가 많이 나온다.
자연의 소리에 의한 각몽(覺夢)은 그만큼 자연의 소리와 정감에 깊이 젖어있는 그의
마음과 시적 정취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매월당의 독특한 詩世界 특징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