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추석(秋夕, 한가위)

아라홍련 2017. 10. 4. 01:47

 

 

 

                * 오늘은 추석, 한가위이다.

                          추석(秋夕)은 일​본과 중국 등 동양 3국 중에서 유일하게 한국만 고유하게 사용하는

                   명칭이자 세시풍속이다. 

                    한가위는 보름달로 인해 양기(陽氣)가 가득찬 때이다.  ​

                    '추석'이란 명칭의 문헌상 기원은 예기(禮記)에서 찾아볼 수가다.  ​

                        예기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이란 기록을 통해서 추석의 기원을 

                    유추 할 수가 있다.

                    우리나라는 '추석월'이란 명칭에서 두 단어를 뽑아 속명(俗名)으로 (秋夕)

                    이란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추석의 유래를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사회의 풍농제(豊農祭)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 제3대 왕인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왕은 6부

                    (六部) 여자들을 둘로 나누어 편을 가르게 한 뒤, 두 왕녀(王女)가 이들을 각각

                    책임지고 통솔하게 했다.              

                    그리고 음력 7 16일부터 날마다 육부 마당에 모여 길쌈을 시작해서 오후 

                    늦게 파한 뒤, 한 달이 지난 8월 보름이 됐을 때 그동안의 성적을 가지고

                    승자와 패자를 가렸다.

                    진 편에서는 이긴 편의 부녀자들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게 했는데, 이때 

                    회소곡(會蘇)라는 노래와 춤을 추면서 흥겹게 놀며 즐겼다. 

                    이를 가배(嘉俳)... '아름답게 노닐다.'는 뜻으로 '한가'라고 했다.

                    때문에 신라시대에는 추석을 가배절(嘉俳節) 또는 가배일(嘉俳日)이라고

                    불렀다.     

                    위의 기록들을 종합하면, 추석은 지금으로부터 약 2,000여 년 전인 서기 32년에 

                    시작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사(祭祀) 조를 보면, 혜공왕 때 오묘(五廟, 다섯

                    임금의 사당)를 정하고, 일 년에 여섯 번 즉 정월 2일과 5일, 5월 5일, 7

                    상순, 81일과 815일에 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돼 있다.

                    추석 때 국가 차원에서 선왕들에게 제사를 지낸 것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도 이와 비슷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가야(伽耶)에서도 추석 때 제사를 지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음력 8월 15일은, 신라가 발해(渤海)와 싸워 이긴 승전 기념일이기도

                    하다.

                    일본의 고승 엔닝(圓仁)이 쓴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는

                    산둥(山東) 지방에 ​사는 신라인들이 신라가 발해와 싸워 이긴 음력 8월 15일을

                    명절로 삼아 온갖 음식을 만들어 먹고 가무를 즐겼다고 기록돼 있다.

                    또 일본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인 일본 서기(日本 書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해서 기념한 날을 승전 기념일로 기념하며 즐겁게 보낸다고

                   기록돼 있다.   

                   추석은 고려시대에 9대 명절에 속했다. 

                    관리들은 이날 하루를 휴일로 보냈다.

                    시대에는 설날, 한식, 단오와 함께 4대 명절에 속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으로 선대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들이

                    남아있다.

                    1488년(성종 20년)에는 추석을 맞이해 임금 '중추완월(仲秋翫月)'이라는 글을

                    써서 신하들에게 내리고, 보름달을 즐기게 했다. 

                    또 1518년(중종 13년)에는 설, 단오와 함께 추석이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다.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 추석은 연중 으뜸 명절 중 하나였다.

                    그동안 농사를 잘 짓게 해준 것을 감사하는 농공 감사일(農功感謝日)로, 서양의

                    추수 감사절에 해당한다. 

                    농사의 결실을 보는 때이다. 

                    추석은 한해 농사의 마무리를 하는 시기이자, 이듬해의 (豊農)을 기리는 깊은

                    의미가 담겨있다.
                    때문에 가을에 추수한 햇곡식과 새 먹을거리로 조상들에게 감사의 예를 올린다.

                    특히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

                    중추가절(仲秋佳節)인 추석엔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추면서 가족의 건강을 빌고,

                    이듬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간절한 소망과 예절의 깊은 뜻이 담겨있다.

                    김시연 작가의 글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독자들...

                    그리고 블로그 방문자들...

  ​            한가위를 맞아 행복하고 보람된 시간 되기 바랍니다.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연휴도 잘 보내기 바랍니다.

 

                                                           2017년, 한가위 날

                                                        정관(正觀) 김시연 작가

                                      

 

                                                                                                       

​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네이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

 

                                                           http://propolis5.blog.me